무역수지가 16개월 만에 흑자 전환했다. 수출 감소세는 계속됐지만, 감소율은 올해 최저점을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은 2023년 6월 수출이 전년 대비 6.0% 감소한 542.4억달러, 수입은 11.7% 감소한 531.1억달러, 무역수지는 11.3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는 내용의 수출입 동향을 1일 발표했다.
6월 수출은 반도체 업황 회복지연과 지난해 6월 수출이 역대 6월 기준 최고 실적(577억달러)을 기록한 데 따른 역기저효과 등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수출 감소율은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이다. 올해 월별 수출감소율은 지난 1월 16.4%, 2월 7.7%, 3월 13.8%, 4월 14.4%, 5월 15.2%, 6월 6.0%다.
품목별로는 반도체(-28.0%)와 석유제품(-40.9%)·유화(-22.0%) 6월 수출이 감소했다. 다만,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는 올해 들어 최고 수출액(89.0억달러)을 기록했다.
자동차(58.3%), 일반기계(8.1%), 선박(98.6%), 이차전지(16.3%) 등 7개 품목의 수출은 증가했으며, 자동차 수출은 지난 3월 이후 60억달러 이상의 수출 호조세를 보이며 역대 반기 기준 최고 수출실적을 기록했다.
중국 수출은 소폭 개선됐다. 5월 106억달러에 이어 6월 105억달러로 두달 연속 100억달러를 넘겼다. 중국 수출 감소율도 19.0%로 전달의 21.1%보다는 조금 낮아졌다.
무역수지는 2022년 2월 이후 16개월만에 흑자로 돌아섰다. 지난 1월 125.4억달러의 적자를 기록한 이후 적자폭은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로, 결국 적자 흐름을 끊어냈다.
정부는 "이번 무역흑자 흐름을 이어나가며 하반기에 수출 플러스 전환을 달성할 수 있도록 수출확대 노력과 함께 에너지 절약확산 및 효율개선 추진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수출확대를 위해서는 30대 수출유망품목을 중심으로 현장애로 해소 및 수출마케팅 지원을 대폭 늘려나가는 한편, 수출기업 10만개 달성을 위해 수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기업 대상 맞춤형 수출기업화 지원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