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LG CNS)
(사진=LG CNS)

DX 전문 LG CNS(대표 현신균)는 스마트 물류센터에서 서로 다른 형태의 로봇을 제어, 관리, 운영할 수 있는 ‘로봇 통합운영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기존 제어 시스템의 경우에는 다른 로봇을 통합 운영하기 어려웠지만, ‘로봇 플랫폼’을 활용하면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 관리가 가능해 사용자의 불편함을 덜어준다는 설명이다.

▲정해진 경로에 따라 상품을 옮기는 무인운송로봇 ▲장애물이 있으면 대체 경로를 탐색해 움직이는 자율이동로봇 ▲물건 보관·적재·이동 모두 가능한 큐브 형태의 물류창고 로봇 오토스토어 ▲상품 분류에 특화된 소팅 로봇 등 다양한 제어 시스템을 연동시킬 수 있다.
 
특히 모든 로봇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해 최적의 업무성과를 내도록 지시한다. 동선과 작업 처리결과 등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최단경로나 최소시간 경로를 추천해 이동 효율성을 높이기도 한다.
 
LG CNS는 로봇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 중인 로봇 제어용 오픈소스 ‘오픈-RMF’를 기반으로 플랫폼을 설계했다. 물류센터에서 주로 사용하는 AGV, 오토스토어, 소팅로봇 등은 이미 ‘로봇 플랫폼’에 연계했다고 전했다.

향후 연동 로봇을 점차 늘려나갈 계획이며, 다수 국내외 로봇업체와 협력해 보다 고도화된 로봇 플랫폼 기술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이준호 LG CNS 스마트물류사업부장은 “로봇 대중화의 핵심은 효율적인 통합 관리 플랫폼”이라며 “클라우드, AI, 데이터 등 DX 기술력을 결합한 플랫폼으로 비즈니스 혁신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