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장혁 LGU+ 기업신사업그룹장(오른쪽)이 유진로봇의 '고카트250'의 시연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LGU+) 
임장혁 LGU+ 기업신사업그룹장(오른쪽)이 유진로봇의 '고카트250'의 시연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LGU+)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는 자율주행 솔루션 전문 유진로봇(대표 박성주)과 업무협약을 체결, '서빙'에 이어 '물류'로 로봇사업 분야를 확대하고 물류센터 운영 자동화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LGU+의 물류로봇 사업은 기존의 스마트팩토리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통신망을 공급해 실질적인 물류자동화를 구현하고 로봇 관제 플랫폼을 개발·공급해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협업을 계기로 LGU+는 5G 통신망 및 플랫폼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로봇 사용환경을 구축하는 역할을, 유진로봇은 고품질의 물류로봇과 시장 내 사업운영 노하우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 양사는 초기 투자비용에 대한 고객 부담을 낮출 수 있도록 구독형 상품 출시도 계획하고 있다.

창립 35주년을 맞은 유진로봇은 3D 라이다 센서부터 자율주행 및 기능안전 컨트롤러, 표준 및 커스텀 플랫폼, 시스템 통합(SI) 등 자율주행 로봇과 관련된 모든 것을 자체 기술로 구현했다. 최대 500kg까지 운반 가능한 유진로봇의 자율주행 로봇 '고카트'는 2021년 국내 물류로봇으로서는 최초이자 세계 3번째로 로봇 안전표준인 ‘ISO13482’ 인증을 받은 바 있다. 또 현재 국내 시장 외에도 독일, 슬로베니아 등을 비롯해 6개국에 수출했으며 3분기 중 싱가포르로 수출국을 넓혀 나갈 계획이다.

LGU+는 신규 진출하는 물류로봇 시장에 조기 안착하기 위해 단기간 내 차별화된 물류로봇 및 물류자동화 서비스를 출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 수십년간 관련 기술과 이용 사례를 축적한 유진로봇과의 업무협약을 추진하게 됐다.

지난 1년간 서빙로봇 시장에서 사업 역량을 쌓은 LGU+는 이번 물류로봇 사업 진출에 이어 향후에도 배송·안내 등 로봇 산업에서 저변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9월에는 LG전자 서빙로봇 '클로이'를 통해 서빙로봇 시장에 진출했으며, 서빙로봇 기업 브이디컴퍼니 등과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임장혁 LGU+ 기업신사업그룹장은 "파트너사들과 긴밀한 협업 덕분에 서빙로봇 시장에 연착륙한 만큼, 물류로봇 시장 진출에 있어서도 든든한 우군 확보를 최우선으로 판단했다"면서 "유진로봇과 함께 고객의 이용 경험을 혁신할 수 있는 로봇 플랫폼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박성주 유진로봇 대표는 "이번 협약은 국내 물류자동화 고객에게 차별화된 솔루션을 공급하며 관련 시장에도 많은 긍정적인 영향력을 줄 것"이라면서 "유진로봇만의 자체 기술력이 집약된 고카트에 LGU+의 강력한 통신망을 결합해 고객 친화적 플랫폼을 바탕으로 최첨단 스마트팩토리 영역으로 빠르게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주영 기자 juyoung0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