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인공지능(AI)으로 생성한 정치 광고 콘텐츠에는 이를 명시해야 한다는 규정을 추가했다. 내년 11월에 열리는 미국 대선을 앞두고 '가짜 뉴스'에 대한 경고가 높아지는 데 따른 조치다.
로이터와 블룸버그 등은 6일(현지시간) 구글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11월 중순부터 적용하는 정책 업데이트를 공개했다고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유튜브를 포함한 모든 구글 플랫폼의 선거 광고에 생성 AI를 이용한 콘텐츠, 즉 이미지, 소리, 영상 등을 사용할 경우 광고주는 시청자에게 잘 보이는 위치에 문구를 노출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사람이 말하거나 행동하지 않은 것을 말하거나 행동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합성 콘텐츠가 포함된 광고 ▲실제 사건의 장면을 변경하거나 실제로 일어나지 않은 장면을 묘사하기 위해 사건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합성 콘텐츠가 포함된 광고가 이에 해당한다.
이런 광고에는 '이 영상은 컴퓨터가 생성했습니다'나 '이 이미지는 실제 사건을 묘사하지 않습니다'와 같은 내용이 잘 보이도록 표시해야 한다. 구글은 이미지 크기 조정이나 밝기조정 같은 사소한 수정은 따로 밝힐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마이클 애시먼 구글 대변인은 “이번 조치는 책임감 있는 정치 광고를 지원하고 유권자가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구글은 이전부터 선거와 관련해 다양한 압박을 받아왔다. 이에 따라 2018년에는 선거 광고주의 신원 확인 절차를 도입했으며, 광고의 소유주와 조회수, 제작비용 등에 대해서도 정보를 공개하고 있다.
반면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을 소유한 메타와 X(트위터)는 AI 생성 광고에 대한 구체적인 규칙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메타는 이에 대한 정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