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인공지능(AI) 전문 뷰노(대표 이예하)는 AI 뇌 영상 분석 및 정량화 의료기기 '뷰노메드 딥브레인'과 관련해 2건의 특허 등록이 결정됐다고 19일 밝혔다.
뷰노메드 딥브레인은 딥러닝을 기반으로 MRI 영상을 분석, 뇌 영역을 100여개 이상으로 분할해 각각의 위축 정도를 정량화해 주는 AI 의료기기다.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등 주요 퇴행성 뇌질환 및 치매 진단을 돕는다. 경도인지장애를 가진 치매 위험 환자도 미리 선별할 수 있다.
이번 특허는 의료진의 AI 기반 뇌 MRI 영상 판독을 위한 핵심 기술이다. 첫번째 ‘ICV(두개강 내 전체 용적)영역분할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은 딥러닝 학습을 거쳐 ICV를 정확하게 분할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환자마다 다른 뇌 영역의 크기를 정규화해 상대적인 뇌 위축 정보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두번째 ‘인공 신경망에 기반해 분류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은 혈관성 치매 진단과 관련한 예측 및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대뇌백질 고강도신호(WMH)의 정도를 분류하는 지표 중 하나인 '파제카스 등급(Fazekas scale)'을 산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두가지 기술 모두 '뇌 위축 정보의 정확도 향상'과 '혈관성 치매 진단'을 돕는다.
이예하 뷰노 대표는 “뇌 MRI 기반 진단 보조 분야 기술력의 집약으로, 임상 현장에서 주요 퇴행성 뇌질환 환자의 조기 발견 및 관리를 도울 수 있는 핵심 기술”이라며 “미국 현지 의료시장에도 빠르게 확산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