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인터내셔널과 포스코퓨처엠은 전남 광양의 포스코퓨처엠 양극재 공장에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지붕 태양광 설비 준공식'을 열었다고 6일 밝혔다.
양사는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이번 사업을 추진했다.
이 사업은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광양 양극재 공장 지붕에 설치된 2.2메가와트(㎿) 규모의 태양광 패널을 이용해 연간 2.6기가와트시(GWh)의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고,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확보하면 포스코퓨처엠이 REC를 구매해 RE100에 대응하는 구조다.
포스코퓨처엠은 지난 2021년 8월 RE100 대응을 위해 자체적으로 세종 음극재 공장에 연간 209메가와트시(MWh)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설비를 준공한 바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해 포스코에너지를 성공적으로 합병하며 에너지 전문기업으로 출범한 뒤 친환경 미래소재 전문기업인 포스코퓨처엠과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해 시너지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자평했다.
양사는 앞으로 포항의 양극재 공장과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에 태양광 발전 설비 확대를 검토하는 등 중장기 재생에너지 확보 방안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탁 포스코인터내셔널 부회장은 "이번 사업 협력이 포스코퓨처엠이 추진하는 RE100 대응에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라며 "사업을 더욱 고도화해 포스코그룹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도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김태용 기자 future@aitimes.com
관련기사
- 한화큐셀, ‘탑콘’ 기술 적용한 태양광 모듈 ‘큐트론 G2’ 출시
- 이탈리아 "시칠리아 태양광 공장, 유럽 최대로 키운다"...1300억 투자로 확장
- 구글, 네덜란드 해상풍력 프로젝트와 최대 규모 전력 계약
- 프라운호퍼 ISE-옥스포드 PV, '탠텀 태양광 모듈'로 세계 신기록 달성
- EU "2040년까지 CO2 90% 감축 목표"...입법 추진에 현실성 논란
- UNIST, 1만배 키운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극 모듈 개발
- 영광군,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착수...4월 태양광 설치 장소 선정
- 서부발전, 중동 초대형 태양광 사업자 선정
-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친환경 직업 10가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