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엔비디아)
(사진=엔비디아)

중국 대학과 연구기관들이 미국의 첨단 반도체 제재에도 불구하고, 기존 중국 서버에 꽂혀 있던 엔비디아의 GPU를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이 대중 수출 규제의 고삐를 바짝 죄고 있지만, 허점이 드러났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로이터는 23일(현지시간) 수백개의 중국 입찰 문서를 분석한 결과, 중국 대학과 연구소 등 10개 단체가 미국과 대만의 업체들이 제조한 서버를 통해 엔비디아 첨단 인공지능(AI) 칩을 확보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미국 정부가 지난해 11월 기존보다 제재 강도를 높인 수출 규제 조치를 시행한 이후 이뤄졌다.

로이터가 확보한 입찰 문서는 중국 공개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은 것이다. 지난해 11월20일부터 올해 2월28일 사이에 중국 정부 기관이 조달한 품목과 관련된 내용이다. 해당 기간 거래된 내역에는 엔비디아의 최신 칩이 포함돼 있다.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와 이 회사 협력업체들이 첨단 칩을 직접 또는 제3자를 통해 중국에 수출하는 것은 금지했지만, 중국 내에서 기존 서버에 있던 칩을 빼서 판매하는 것은 불법이 아니라는 분석이다.

중국이 엔비디아 칩 확보 경로로 사용한 서버 제조업체로는 미국 슈퍼마이크로, 델, 대만의 기가바이트 등이 거론됐다. 칩 판매자 11명은 잘 알려지지 않은 중국인 소매상들로, 이들이 지난해 11월 수출통제 강화 이전에 비축해둔 물량을 사용한 것인지 그 이후에 확보한 물량을 사용한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런 경로를 통해 칩을 구매한 중국 단체로는 중국과학원과 산둥 인공지능연구소, 후베이성 지진국, 산둥대, 시난대, 헤이룽장성 정부가 소유한 기술투자기업, 국유 항공연구센터, 우주과학센터 등이다.

엔비디아 측은 “입찰 건은 미국 제재 발표 전 수출된 물량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고 해명하며 "협력사들이 미국 제재를 위반했다고 볼 수 없으며, 문제가 된 입찰 건들은 전세계 물량 중 극히 일부"라고 강조했다.

델 등 서버 제조사들은 “관련법을 준수했지만, 혹시 몰라 추가 조사를 하겠다”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또 “어떤 컴퓨터 작업이든 GPU로 구축하고, 제3자에 의해 재판매되는 시스템은 미국의 대중 수출 제한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라며 “어떤 제품이라도 미국 수출 통제 규정을 위반해 재판매됐다고 판단되면, 고객과 협력해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슈퍼마이크로 측은 “수출 통제 규정 이전에 중국에서 사용할 수 있었던 제품으로 최대 규모 AI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구세대 또는 범용 서버”라고 일축했으며, 이를 공급한 중국 소매업체들에 대해선 “자사의 고객사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델도 “로이터가 지목한 업체들에 관련 제품을 배송했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라며 자체 조사를 계속하겠다는 방침이다. 기가바이트는 “대만 법률 및 국제 규정을 준수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미국 상무부는 이번 사건에 대해 아직은 조사를 시작했는지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산업보안국은 “수출이 제한된 칩의 유용을 모니터링하고, 최종 사용 여부를 점검하며, 그 결과 위반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또 페이퍼컴퍼니 등을 이용한 편법 거래도 조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