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 인공지능(AI) 전문 딥브레인AI(대표 장세영)는 기업, 관공서, 교육기관 등을 대상으로 딥페이크 진위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딥페이크 탐지 솔루션’을 1개월간 무료 지원한다고 29일 밝혔다.
경찰청에 따르면 AI를 활용한 허위 영상물 제작 관련 범죄가 최근 4년간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156건, 지난해 180건에 이어, 올해는 상반기에만 297건을 기록했다. 특히 최근 지인 등의 얼굴을 합성한 ‘딥페이크 음란물’을 유포하는 성범죄가 확산하며 파장이 일고 있다.
딥브레인AI는 딥페이크 관련 범죄 피해를 최소화, 원활한 수사 및 대응을 돕기 위해 초중고와 대학을 비롯한 교육기관과 관공서, B2B 및 엔터프라이즈 기업 등에 딥페이크 탐지 솔루션을 1개월간 무료 지원하기로 했다.
딥페이크 탐지 솔루션은 딥페이크로 의심되는 영상을 시스템에 업로드하면 즉각 진위여부를 판별해 결과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딥페이크 데이터 구축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해 솔루션을 고도화했다. 기존 학습을 진행한 520만건 이외에도 2000시간에 달하는 200만건의 데이터 학습을 추가로 진행, 고품질의 데이터셋을 구성한 결과다.
솔루션은 온프레미스와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두가지 형태로 제공한다. SaaS의 경우 인터넷만 연결돼 있다면 언제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딥브레인AI 공식 홈페이지에서 문의하면 된다.
장세영 딥브레인AI 대표는 “AI 기술을 악용한 딥페이크 범죄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관련 피해 확산을 최소화하고자 진위여부 판별이 필요한 기업과 관공서 등을 대상으로 솔루션을 무료 지원하기로 했다”라며 “앞으로도 기관, 기업 등과 협력을 통해 딥페이크 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방위적인 지원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