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구글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가동에 필요한 전력을 확보하기 위해 미국 소형 모듈 원자로(SMR) 기업과 계약을 맺었다.

로이터는 14일(현지시간) 구글이 미국 SMR 기업 카이로스파워가 건설하는 원자로에서 전력을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구글이 AI 가동에 필요한 막대한 전력을 확보하기 위해 원전 기업과 계약을 체결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계약의 가격과 비용 관련 정보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번 계약으로 구글은 카이로스파워가 가동할 6∼7개의 원자로에서 총 500메가와트(MW)의 전력을 공급받을 예정이다. 500MW는 수십만 가구가 거주하는 중소 도시나 AI 데이터센터 캠퍼스 1곳에 전력을 공급하기 충분한 규모다. 카이로스파워는 2030년 첫 번째 SMR 가동을 목표로 하며, 나머지는 오는 2035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계약은 기업이 SMR 기업으로부터 원자력을 구매하는 첫 사례다. SMR은 300MW 이하 출력으로 기존 원자로보다 작을 뿐만 아니라 현장 건설이 아닌 공장 내에서 제작하기 때문에 풀스케일 원전에 비해 건설 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마이클 테렐 구글 에너지 및 기후 담당 수석 이사는 “원자력이 전력 수요를 24시간 내내 충족시킬 수 있는 청정 전력원이 될 수 있다”라고 밝혔다.

구글은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급을 위해 원전 활용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실제 챗GPT 등 AI 플랫폼을 이용해 정보를 검색하면 구글 사이트에서 표준 검색 기능을 사용할 때보다 약 10배 많은 에너지가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생성 AI 인기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빅테크들은 전용 전력망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특히 무탄소 전력원으로서 원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다. 지난달엔 마이크로소프트(MS)가 미국 최악의 원자력 사고를 냈던 펜실베이니아주 쓰리마일 섬 원전을 재가동해 사용하기로 컨스텔레이션에너지와 계약을 맺었다.

앞선 3월엔 아마존이 원자력으로 가동되는 탈렌에너지로의 데이터센터를 인수한 바 있다.해당 원전과 연결된 데이터센터도 인수했다.

오픈AI는 2027년부터 샘 알트먼 CEO가 투자한 SMR 스타트업 오클로가 개발 중인 원전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