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하는 인공지능(AI) 수요에 맞춰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이 문제로 떠오르며, 핵발전이 대세가 되는 분위기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오라클에 이어 데이터센터 가동을 위해 핵발전을 선택했다.
블룸버그와 테크크런치 등은 20일(현지시간) MS가 미국 최대 원자력 발전소 기업인 콘스텔레이션 에너저(Constellation Energy)와 대규모 계약을 체결, '스리 마일 아일랜드(Three Mile Island)' 1호 원자력 발전소에서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컨스텔레이션은 2028년까지 정부의 승인을 받은 뒤 원자로를 재가동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를 위해 16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MS는 향후 20년 동안 원자로의 모든 전력을 구매하기로 합의했으며, 원자로가 복구되면 835메가와트(MW)의 용량을 공급할 예정이다. 계약 조건은 공개하지 않았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에 위치한 이 발전소는 1979년 최악의 붕괴 사고 이후 영구적으로 폐쇄된 2호가 바로 옆에 자리잡고 있다.
이번에 MS가 계약한 1호기는 천연가스, 태양광, 풍력과 같은 에너지 대안과의 경쟁 속에서 수요 감소로 2019년에 폐쇄됐다.
MS와 애플, 구글, 아마존 등 미국 빅테크는 2017년 미국 정부의 독려에 따라 2030년까지 넷제로 달성을 선언, 그동안 풍력이나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에 대규모 투자를 실시했다. 그러나 최근 AI 수요 급증으로 기존 계획으로는 전력 문제 해결이 어려워지자, 핵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최근 오라클도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정부로부터 모듈식 원자로 3기를 건설할 수 있는 허가를 획득했다. 오라클의 테이터센터는 무려 13만1072개의 엔비디아 '블렉웰' GPU로 구성된 세계 최대의 AI 슈퍼 클러스터로 알려져 있다.
이에 앞서 MS는 지난해 5월 핵융합 스타트업 헬리온 에너지와도 전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이 회사는 샘 알트먼 오픈AI CEO가 투자한 회사로 알려져 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 "GPT-4로 단어 100개 생성하면 최대 물 1.4리터 소모”
- 머스크·앨리슨, 젠슨 황에게 GPU 애원..."제발 내 돈을 받아 줘"
- 알트먼·젠슨 황, AI 전력 문제로 정부와 논의
- 영국, 에너지 중개업자 새 규제안 도입 예고..."비용절감·탄소감축 목표"
- "2030년까지 AI 훈련 컴퓨팅 1만배 증가...병목 현상 올 때까지 AI 극적으로 발전할 것"
- 콘스텔레이션 CEO “AI 전력 문제 해결 위해 중국을 모방해야”
- 오픈AI, 미국 정부에 초대형 데이터센터 건설 요청..."국가 안보에 도움될 것"
- 아마존 “몇년 뒤 재생 에너지 세계 최대 구매자가 될 것”
- 텍사스 "발전소 근처에 데이터센터 건설할 경우에도 발전소 추가해야"
- 구글도 AI 전력 수요 증가로 핵 선택...소형 원자로 최초 계약
- 아마존, 핵 발전 계약 3건 발표..'클라우드 빅 3' 모두 핵 가동 나서
- “AI 전력 수요 급증이 청정 에너지 개발 촉진할 것”
- 아마존·메타, 정부 규제로 핵 도입에 제동
- 메타, MS 이어 콘스텔레이션 핵 발전소와 전력 계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