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곡성군이 조성한 생활밀착형 실외 정원은 버려진 공간을 주민들의 쉼터로 재탄생시켰다. 이는 성공적인 사례로 타 지자체도 벤치마킹할 좋은 요소로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공간 재생 프로젝트에 AI 기술을 접목할 경우, 정원의 관리, 운영, 그리고 주민 및 관광객의 경험을 더욱 혁신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전남 곡성군이 버려진 공간을 생활밀착형 정원으로 조성했다. (사진=곡성군)
전남 곡성군이 버려진 공간을 생활밀착형 정원으로 조성했다. (사진=곡성군)

곡성군 사례를 중심으로 AI 기술이 접목될 때 파생될 가능성과 기대 효과를 분석해 보자.

AI 기반의 정원 관리 및 유지보수 자동화

AI 기술은 정원의 유지보수와 관리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AI를 활용하여 식물 상태, 토양 습도, 해충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자동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는 정원의 상태를 항상 최적화된 상태로 유지하며, 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다.

구체적인 사례로, 네덜란드의 스마트 농업에서는 AI와 IoT(사물인터넷) 기술을 통해 토양 및 기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농작물의 성장 상태를 최적화하고 있다. 

이 기술을 곡성 정원에 적용하면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을 통해 물 낭비를 줄이고, 식물의 생장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AI 기반의 방문객 맞춤형 서비스

AI 기술을 활용하면 정원을 방문하는 주민과 관광객들에게 맞춤형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AI 기반 앱을 통해 방문객이 정원 내 식물이나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증강현실(AR)'을 통해 정원의 역사나 관련된 스토리를 흥미롭게 전달할 수도 있다.

예시를 든다면, AI 관광 가이드 앱을 개발하여, 관광객이 스마트폰으로 특정 조형물이나 식물을 스캔하면 음성이나 텍스트로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방문객들은 정원을 더 깊이 이해하고 경험할 수 있으며, 정원 방문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전남 곡성군이 버려진 공간을 생활밀착형 정원으로 조성했다. (사진=곡성군)
전남 곡성군이 버려진 공간을 생활밀착형 정원으로 조성했다. (사진=곡성군)

스마트 정원 내 실시간 피드백 시스템

AI 기술을 도입해 정원 내 실시간 피드백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민들과 관광객들이 정원에서의 불편 사항이나 개선점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이를 즉각적으로 반영해 정원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원 곳곳에 설치된 디지털 키오스크나 모바일 앱을 통해 방문객들이 자신의 의견을 남기면, AI가 이를 분석하여 주요 문제점이나 개선 요구를 실시간으로 피드백하고, 관리자는 즉각적으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AI 기반의 정원 디자인 시뮬레이션

정원 조성 전 AI 기반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디자인을 도출할 수 있다. AI는 지역의 기후, 토양, 방문객 수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장 적합한 식물 배치, 경관 조성, 동선 설계를 자동으로 제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원의 디자인과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AI를 활용한 도시계획 시뮬레이션은 현재 여러 도시에서 사용 중이며, 곡성군의 정원 설계에도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면 최적화된 디자인과 공간 활용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매력적인 정원을 만들 수 있다.

관광객 유입 예측 및 데이터 기반 마케팅

AI는 관광객 데이터를 분석하여 계절, 날씨, 지역 행사 등을 기반으로 관광객 유입 예측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원의 유지보수 계획을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세워 관광객 유입을 극대화할 수 있다.

AI는 과거의 방문 데이터를 분석하여 방문자 증가 시점을 예측하고, 그에 맞춰 정원 관리나 특별 프로그램 운영을 계획할 수 있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소셜 미디어 광고나 이벤트 홍보를 통해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다.

AI를 통한 친환경 에너지 관리

AI 기술은 정원 내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데도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패널과 AI 기반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결합하면, 정원의 조명이나 관개 시스템을 자원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정원 운영이 가능하다.

스마트 그리드 기술을 적용한 도시는 에너지 사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전력 소비를 최적화하고 있으며, 곡성의 생활밀착형 정원에서도 친환경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다.

곡성군의 생활밀착형 정원 조성은 지역 주민들에게 쉼터를 제공하고 관광객 유입을 촉진하는 중요한 재생 프로젝트다. 여기에 AI 기술을 접목하면, 정원의 유지보수, 방문객 경험 향상, 그리고 데이터 기반의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AI는 곡성 정원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이러한 공간 재생 프로젝트의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AI 기술의 도입을 통해 친환경적이고 스마트한 도시 재생이 가능하며, 주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