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스웨덴 카롤린스카 왕립 의과대학의 "전국 학교 디지털화 전략 의견서" 분석 결과에 따르면, 디지털기기를 통한 학습은 학생들이 수업 시간의 최대 40%를 학습과 무관한 활동에 사용하며, 정답률이 30% 낮아지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김문수 국회의원 (AI타임스DB)
김문수 국회의원 (AI타임스DB)

이 연구는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회의원(민·전남 순천갑)이 국회도서관에 의뢰한 자료에서 인용되었으며, 국내에서도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과 관련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스웨덴의 사례는 디지털 도구가 학생들의 집중력을 저해하고 작업 기억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예를 들어, 크라우샤와 노박(2010)의 연구는 수업 중 컴퓨터 사용이 최대 40%의 딴짓으로 이어진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또 다른 연구인 햄브룩과 게이(2003)의 실험에서는 노트북을 사용한 학생들이 사용하지 않은 학생보다 30% 더 낮은 성적을 보였다.

특히 클링버그(2023)의 연구는 종이에 적힌 내용보다 화면을 통해 읽을 때 집중력 저하와 학습 성과가 36% 감소한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해외 연구들은 디지털 학습 도구가 학습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조명하고 있으며, 영유아 및 ADHD 아동에게 특히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국내에서도 디지털기기 학습의 효과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정부는 내년부터 AI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할 예정이지만, 김문수 의원은 "디지털 교과서 도입에 앞서 학생들의 연령별, 특성별 영향을 충분히 분석하고, 학생·교사·학부모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외 사례뿐만 아니라 국내의 디지털 교육 도입에 대한 준비도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 이미 일부 학교에서는 스마트 학습기기를 활용한 시범 수업이 진행 중이지만, 구체적인 성과와 한계점이 공개된 적은 많지 않다. 

디지털 교육이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서 학생들의 학습 능력과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려면, 각계 전문가의 종합적인 분석과 체계적인 대비책이 필수적이다.

정부는 내년 디지털 교육 도입에 앞서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보완하고, 교사들의 디지털 기기 활용 역량을 강화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