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신규 인공지능(AI) 서비스 ‘카나나(Kanana)’를 공개했다. 이 서비스는 최근 유행인 감성형 음성 AI 챗봇인 것으로 밝혀졌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22일 판교 카카오 본사에서 열린 개발자 컨퍼런스 이프카카오(if KAKAO)에서 카나나 서비스를 비롯한 카카오의 AI 모델 개발 전략과 그룹사의 AI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을 밝혔다.
기존 카카오톡이 사용자들의 관계와 연결에 집중한 것처럼, 카나나 서비스는 AI 메신저로서 사용자의 대화를 학습하고 개인화된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 음성 인식과 합성기능을 추가해 음성 대화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카카오톡보다 정보 보안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정 대표는 “카카오는 사용자들이 친구처럼 대화하는 AI 페르소나를 제공하겠다”라며 “개인화된 AI와의 커뮤니케이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사용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기존 대화의 맥락을 장기 기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위해 현재 내부 테스트 중이며, 일부 기능 개선 후 출시할 예정이다.
카카오톡에 AI 서비스를 적용, 안전성을 강화하고 '쇼핑 메이트' 기능을 제공한다.
AI 안티 어뷰징 시스템으로 사기 사칭 계정을 자동으로 탐지해주며 사용자들이 안전하게 카카오톡을 사용할 수 있도록 AI 기능을 적용했다. 또 카카오톡 선물하기에 AI커머스 MD를 추가해서 선물 추천이나 쇼핑 에이전트로 사용할 수 있게 했다. AI커머스 MD는 “빠르면 다음달 일반 사용자들에게 공개 예정”이라고 전했다.
정 대표는 카카오 엔터테인먼트, 카카오 페이, 카카오 모빌리티 등 그룹사의 AI 솔루션 개발 계획에 대해서도 밝혔다.
특히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소속인 아이브 장원영의 목소리를 학습한 음성 모델로 원하는 메세지를 읽어주는 서비스를 시연했다. 카카오 엔터가 보유한 K-팝 IP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개발하겠다는 계획이다.
정 대표가 “오늘 이프카카오에 와서 기분이 좋다는 것을 밝은 톤의 목소리로 말해달라”고 요구하자, 약 6초간의 지연 뒤 장원영의 목소리와 유행어로 “이프카카오에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와주다니 완전 럭키비키잖아”라는 답변이 생성됐다.
카카오페이에서는 AI 금융 전문가를 위해 전문가 혼합 모델(MoE) 방식을 사용하겠다고 전했다. 사용자의 질문에 따라 부동산, 세무, 투자, 금융 등 각 분야에 특화된 AI 모델들이 종합적인 답변을 내놓는 방식이다.
그는 모델 오케스트레이션을 강조하며 “글로벌 모델, 오픈 소스 모델, 자체 모델을 종합적으로 사용한다”라며 “단순 벤치마크 경쟁을 넘어서 사용자 경험에 집중하겠다”라고 밝혔다.
현재 카카오가 개발 중인 AI 모델에 대해서는 “카카오의 AI 세이프티 이니셔티브에 맞게 개발 중”이라고 짧게 언급했다.
언어모델은 ▲플래그 ▲에센스 ▲나노 3가지 모델로 개발하고 있으며, 이 중 “카나나 에센스와 나노 모델은 카카오의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될 것”이라고 전했다.
언어모델 외에도 멀티모달모델, 이미지 생성 모델, 음성 모델을 포함해 다양한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고 소개했으나, 구체적인 모델 공개 계획은 밝히지 않았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