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형 디케이테크인 개발자가 22일 '이프카카오(if KAKAO)' 컨퍼런스에서 '카카오i를 통한 AIoT서비스의 사례와 미래'세션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김덕형 디케이테크인 개발자가 22일 '이프카카오(if KAKAO)' 컨퍼런스에서 '카카오i를 통한 AIoT서비스의 사례와 미래'세션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카카오 자회사 디케이테크인은 22일 열린 '이프카카오(if KAKAO)' 컨퍼런스에서 '카카오i를 통한 AIoT서비스의 사례와 미래' 세션에서 카카오i의 비전을 소개했다. 

카카오i는 카카오i오토, 헤이카카오, 카카오홈을 통합한 인공지능(AI)플랫폼으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차량 및 주거 환경 제어 플랫폼이다. 

헤이카카오앱으로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면 대형언어모델(LLM)로 자연어 처리 및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필요한 디바이스와 연동해 작업을 완료하는 AI 에이전트 서비스다. 

"잘 준비해 줘"라고 말하면 LLM이 수면 환경에 적합한 디바이스와 적절한 제어값을 구성한다. 조명은 어둡게, TV는 끄고, 난방을 높이는 등 사용자에게 맞춤 환경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연사로 나선 김진호, 김덕형 디테이테크인 개발자는 카카오i의 개발 방향성을 ▲개인화 ▲환경 변화에 따른 추천 ▲일상생활과의 연계 등으로 소개했다. 

개인화는 사용자의 환경과 사용 패턴을 분석해 최적화된 멀티 디바이스 제어를 말한다. 또 사용자가 집에서 차량을 타고 직장에 출근하는 경로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차량내 환경이나 주거 공간의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카카오홈은 집안 조명, 난방, 에어컨 등을 제어하고 아파트 관리비, 에너지 사용량 등을 조회할 수 있는 스마트홈 서비스다. 

권영진 디케이테크인 커넥트 사업관리팀 차장이 두산위브 더센트럴 부평 모델하우스에 설치된 월패드에서 헤이카카오를 시연하고 있다. 
권영진 디케이테크인 커넥트 사업관리팀 차장이 두산위브 더센트럴 부평 모델하우스에 설치된 월패드에서 헤이카카오를 시연하고 있다. 

현재 두산위브 더센트럴 부평 모델하우스에 집안 월패드와 스피커 등과 연동된 카카오홈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월패드에는 음성명령으로 다양한 기능에 접속할 수 있다. 멜론 서비스와 연결해 음악을 듣거나, 번역·라디오·뉴스·게임 등 생활편의 기능 등 카카오홈에서 다양한 콘텐츠도 이용할 수 있다. 

권영진 디케이테크인 커넥트 사업관리팀 차장은 카카오홈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쉬운 사용성, 다른 기기와의 호환성, 개인 정보 보안 등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스피커를 연동해 헤이카카오로 음성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스피커를 연동해 헤이카카오로 음성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그는 "월패드, 스피커, 카카오톡등으로 사용자들이 쉽게 AI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할 것"이라며 "집 안에서 월패드와 가전제품, 조명, 난방 등을 연결해서 쉽게 제어할 뿐만 아니라, 아파트의 커뮤니티 공간, AI출입 보안 시스템과 연동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AI를 생활에서 쉽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집과 같은 일상 공간에 적용되어야 한다는 아이디어다. 또 향후 "가정내 월패드에 모빌리티와 같은 카카오의 다른 서비스와도 연동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개방형 스마트홈 연동 표준 ‘매터(Matter)’를 도입해 삼성 스마트씽즈를 비롯한 경동 나비엔, 귀뚜라미, 아이파크 스마트홈, 코웨이 아이코어 등 20여개 이상의 가전 IoT와 연동할 수 있다.

권 차장은 "모델하우스에서는 카카오홈 서비스의 시연을 보여주는 형태이고 실제로 아파트가 완공되면 주거공간 내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논의할 필요가 있다"라고 덧붙였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