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항공청(윤영빈 총장)과 성층권드론기술개발사업단(오수훈 단장)은 23일 세종에서 국내 성층권 태양광 드론 상용화 추진 본격화를 위한 상용화 추진위원회 착수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사업단은 개발 중인 성층권 드론이 대기가 안정적인 성층권에서 지상을 감시하거나 통신 중계를 할 수 있어 위성 등 기존 관측 체계를 보완할 수 있는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은 분야라고 설명했다. 현재 세계 최고 수준인 30일 연속 비행 및 임무 장비 20kg 이상 탑재 목표로 개발하고 있다.
성층권 드론은 기존 위성에 비해 제작비와 운영비가 저렴하고 필요할 때 바로 띄우고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어 유럽의 에어버스, 미국 보잉, 일본의 소프트뱅크 등이 개발 중이다. 국내에서는 2016년 항공우주연구원에서 세계 세번째로 성층권 비행에 성공한 이후 2020년 8월 53시간 연속 비행에 성공한 바 있다.
위원회에서는 2025년 성층권 드론 핵심기술 실용화 단계 완료 이후 감시 및 통신중계 등 활용 수요 발굴 및 운용 개념, 태양전지 및 배터리 등 태양광 드론의 핵심부품 국산화 방안, 임무 장비 개발 요구도 수립 등 상용화 단계 추진을 위한 주요 사항을 논의할 계획이다.
이광병 우주청 항공혁신임무설계프로그램장은 “향후 대류권과 우주공간 사이의 성층권이 새로운 시장으로 활짝 열릴 전망"이라며 "해외 의존도가 높은 국내 드론 시장에서 성층권 태양광 드론 시장만큼은 우리가 선도할 수 있도록 핵심부품 개발 및 서비스 발굴 등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승 기자 energy@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