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광양시는 지난 10월 28일 시청 상황실에서 ‘광양시 RE100 기본계획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지역 맞춤형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한 전략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화엽 미래산업국장과 한국전력공사, 전남테크노파크, 포스코 등 주요 기관 관계자들이 참여해 광양시의 에너지 사용 현황과 RE100 이행 방안을 심도 있게 다뤘다.

광양시 'RE100 기본계획' 연구용역 보고회 (사진=광양시)
광양시 'RE100 기본계획' 연구용역 보고회 (사진=광양시)

광양 맞춤형 RE100 모델, 세 가지 핵심 과제

이번 보고회에서 용역 수행기관인 녹색에너지연구원은 광양의 RE100 비전을 중심으로 세 가지 핵심 과제를 제시했다.

'지피지기 RE100', 광양 지역의 신재생에너지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 신속한 대응과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공공주도 RE100', 광양시가 주도하는 에너지 전환 정책으로, 공공기관의 유휴 부지에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하고, 국비와 연계한 지원사업으로 보급 확대를 도모하는 전략이다.

'지역상생 RE100', 지역의 재생에너지 자원을 지역민과 지역기업이 공유하고 활용하여 지역사회와 경제를 동시에 활성화하는 상생 모델이다.

이화엽 미래산업국장은 "RE100은 단순히 에너지원 전환에 국한되지 않고, 지역사회와 경제적·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과제다"라며, "이 모델을 통해 광양시가 탄소중립 목표에 기여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를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국가적·지방적 차원의 RE100 및 탄소중립 필요성

에너지 문제는 국가 차원에서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장기적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필수적이다. 특히 RE100은 산업의 탄소발자국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미래 경제를 구축하는 핵심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광역시도와 각 지자체 역시 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을 통한 지역 맞춤형 RE100 모델을 마련해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는 한편,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다.

광양시의 RE100 계획은 이러한 국가적 기조와 맞물려, 산업도시로서 탄소배출을 줄이고, 경제 성장과 기후 변화 대응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앞으로 광양시는 국가와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탄소중립과 지속가능성을 강화해 나가고, 글로벌 기후 위기 대응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