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공공용지를 활용해 태양광 등 재생 에너지 발전소를 건립하고 이익을 도민과 공유하는 ‘공공용지 활용 햇빛발전소 확대 지원(공유부지 RE100)사업’에 참여한 도민이 2만3000명을 넘었다고 5일 밝혔다.
도민들은 재생 에너지 발전에 투자한 배당 수익으로 혜택을 얻는 동시에 기후위기 대응에 동참할 수 있다. 공공기관은 별도의 예산 투입 없이 태양광발전 시설을 설치하고 유휴 공공부지를 통해 임대수익을 거둘 수 있다.
올해 2월 도청 북부청사 본관 옥상 등을 활용한 태양광발전소 설치를 시작으로 ▲포천종합운동장 ▲시흥시 방산버스공영차고지 ▲호원실내테니스장 ▲내손체육공원 등 총 5개소에서 햇빛발전소가 준공됐다. 추가로 올해 준공이 예정된 곳은 경기국악원과 경기도건설본부 등 2개소다.
도는 올해 30개소의 새로운 사어 대상 공공부지를 발굴해 총 50곳에서 햇빛발전소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해당 사업에 참여한 협동조합의 도민 규모는 약 2만3000명에 달한다. 50개 사업이 모두 완료되면 총 13메가와트(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가 확보될 예정이다. 이는 4350개 주택 지붕에 태양광발전소를 설치하는 것과 비슷한 양이다.
특히, 사업 발굴지 가운데는 마땅히 활용할 방법이 없었던 고속도로 나들목(IC) 유휴부지가 주목받고 있다. 현재 도민 1만명 규모의 26개 시군 도민참여형 에너지 협동조합이 총 5MW 규모의 발전소 건립에 투자할 예정이다.
김연지 경기도 에너지산업과장은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30% 달성을 목표로 하는 경기 RE100 실현을 위해 경기도민의 적극적 지지가 매우 중요하다”라며 “더 많은 도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공공의 역할을 강화하는 한편, 공유부지를 중심으로 상생모델을 발굴·확산하겠다”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공유부지 활용 태양광발전소 확대를 위해 시군 등의 신청을 받는 것 외에도 후보지를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있다. 도와 시군이 보유한 52만 개 공공부지 데이터를 전수조사했으며, 그중 우선 대상부지 600개를 발굴해 연말까지 정리할 계획이다.
이재승 기자 energy@aitimes.com
- 광양시, 'RE100 기본계획 최종보고회' 성료
- 경기평택항만공사, 공공기관과 재생 에너지 RE100 협력 MOU
- 나주, 영농형 태양광 첫 결실...'농업과 재생 에너지 공존'
- 경기 "미니태양광 발전기, 다양한 장소에서 활약"
- 메타, 텍사스 태양광 발전소와 260MW 재생 에너지 계약
- 영국 "제로 비용 주거용 태양광 시범 운영"
- 농어촌공사, 알제리 태양광발전 현지 연수 실시
- 증평군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A등급 선정...국비 10.9억 확보"
- 광전극 내구성 증가…"태양광 수소 생산 상용화 눈앞"
- 밀양시 "2025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 공모사업 선정"
- 부산시 "태양광발전 에너지나눔 ESG사업 완료"
- 경기 RE100 마을지원사업 “태양광 발전 설치하고 연 25% 햇빛 소득 챙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