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민 래블업 매니저가 28일 경북대에서 열린 'AI 페스티벌'에서 자사 서비스를 소개하고 신규 인력 채용 계획에 대해 밝혔다.
래블업은 인공지능(AI) 서비스 개발과 운영 과정에서 GPU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해서 사용할 수 있게 지원하는 플랫폼 ‘백엔드닷AI’를 제공하고 있다.
또 AI 모델 학습부터 배포까지 가능한 ML옵스 플랫폼도 보유하고 있어, GPU 자원 관리부터 AI 서비스 운영까지 '풀스택 서비스'를 갖췄다.
김종민 매니저는 “벡엔드닷AI를 활용하면 가상화한 GPU 자원을 분산, GPU 하나에서 여러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전 세계 AI 기업들이 GPU를 경쟁적으로 구매하는 상황에서, 한정된 GPU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동시에 백엔드닷AI와 호환되는 래블업의 ML옵스 플랫폼을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라고 전했다.
김 매니저는 ”래블업도 GPU 자원을 최대한 확보, 내부에서 테스트를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또 ”리벨리온이나 퓨리오사AI와 같은 국내 NPU와도 호환가능하다“라고 덧붙였다.
이 때문에 최근 래블업을 찾는 곳이 부쩍 늘어났다. 최근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중소기업 산업디자인 개발지원 사업을 통해 디자인기업 바이스버사와 협력해 대대적인 UI 업데이트와 회사 리브랜딩을 진행했다. 또 산학협력 프로젝트에도 참여, 국민대와 포스텍 등 대학과 인턴십 프로그램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인력 보강이 절실하다고 전했다. “회사 규모에 비해 진행 중인 프로젝트가 많아,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력이 필요하다”라고 설명했다.
또 “래블업은 풀스택 AI 운영 시스템을 지향하는 데다, 현장에서는 ‘필드옵스(field-ops)’라고 부르는 다양한 분야에 지식과 경험이 없으면 전체 구조를 이해하기 어렵다”라고 덧붙였다.
따라서 래블업에 합류하려는 AI 엔지니어들에게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시스템 전체를 조망하는 능력"을 꼽았다.
분기별로 3-4명의 인턴을 뽑고 있다. 전체 3개월의 인턴십 통하면 래블업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참여, 전체 시스템을 이해하고 직접 이슈를 해결해 본 뒤 관심 있는 팀에 정식으로 합류해 경험을 쌓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현재 래블업의 프로덕트 대부분은 오픈 소스로 공개되어 있어, 깃허브를 통해 프로젝트와 이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