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왼쪽)와 전대욱 한국수력원자력 경영부사장이 ‘생성AI 플랫폼 구축 계약 체결’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왼쪽)와 전대욱 한국수력원자력 경영부사장이 ‘생성AI 플랫폼 구축 계약 체결’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네이버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대표 김유원)는 한국수력원자력(사장 황주호)이 ‘뉴로클라우드 포 하이퍼클로바X’를 도입해 내년 3월까지 맞춤형 생성 인공지능(AI)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하이퍼클로바X에 40여년 이상 축적해 온 원전 운전 경험 자료 및 각종 절차서를 학습한다는 설명이다. 원자력 산업에 생성 AI 기술을 융합, 원전 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안전성을 향상하고 원전 운영 효율성을 높여 국내 원전 산업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이번에 도입하는 ‘뉴로클라우드 포 하이퍼클로바X’는 고객 데이터센터 내에 클라우드 인프라를 직접 설치해 폐쇄 네트워크 안에서만 생성 AI를 학습, 데이터 외부 유출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서비스다. 기업 보안정책을 준수하면서 안전하게 생성 AI를 활용할 수 있다고 전했다.

한수원도 국가 주요 보안 시설인 원자력 발전소를 운영하는 만큼 보안과 안전을 최우선시해 네이버  서비스를 택했다고 전했다.

한편,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번 사례가 글로벌 최초 원전 특화형 대형언어모델(LLM) 서비스라고 강조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뉴로클라우드 포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한지 1년여 만에 이뤄진 2번째 대형 계약 사례”라며 “양사가 힘을 합쳐 글로벌 시장으로도 해당 모델을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낼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