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픽스 임직원들이 스페이스랩 클린룸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텔레픽스)
텔레픽스 임직원들이 스페이스랩 클린룸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텔레픽스)

위성 솔루션 전문 텔레픽스(대표 조성익)는 차세대 위성 탑재체 개발시설 스페이스랩(SpaceLAB)을 구축했다고 20일 밝혔다. 

대전 대덕테크노밸리 내에 위치한 스페이스랩은 텔레픽스의 핵심 비즈니스인 ‘위성 광학탑재체’를 연구개발 및 생산제조하는 시설이다. 즉, 위성에 탑재하는 초경량 고해상도 광학카메라 등 하드웨어를 개발하고 생산하기 위한 장소다. 향후 해외 수출 중심 글로벌 우주 비즈니스 고도화를 위한 핵심 인프라 역할을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전체 면적은 약 200평 규모다. 약 100평 규모의 클린룸을 포함해 사무실, 회의공간, 라운지 등으로 구성한다. 클린룸에는 에어샤워룸, 에어록(airlock), 항온항습계 등 인공위성 오작동의 원인이 되는 미세한 먼지 입자를 차단하고 온습도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기본 시설이 존재한다. 또 ▲광학테이블 ▲부품 및 탑재체 측정용 장비 등 위성 제조에 최적화한시설도 구비했다. 외부 진동을 억제해 정밀한 광학측정 및 부품조립이 용이하다고 전했다.

특히 50~200킬로그램(kg) 규모의 마이크로위성 프로젝트까지 소화할 수 있도록 이번 스페이스랩을 개소했다는 설명이다. 그간에는 50kg 이하의 나노위성(큐브위성) 프로젝트 중심으로 개발을 진행했지만, 최근 마이크로위성에 대한 업계의 니즈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스페이스랩에서는 ▲위성용 광학탑재체 총조립 및 기능-성능 시험 ▲고성능 광학부품 및 탑재체 광학 성능 측정 ▲광학계 조립-정렬 및 우주급 본딩기술 개발 ▲빔 획득 추적 알고리즘 기능시험장치 구축 ▲성능 측정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광학열진공챔버(OTVC)도 추가 구축한다. 열진공챔버는 극한의 온도 및 진공 등 우주와 유사한 환경을 인위적으로 모사해 위성 탑재체가 우주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장비다.이러한 핵심 초정밀부품 자체 생산 및 위성시스템 대량생산을 위한 원스톱 체계를 갖춘 것은 국내 우주 스타트업 중 텔레픽스가 유일하다고 강조했다.

김성희 텔레픽스 전무는 “스페이스랩은 글로벌 고객들의 요구에 맞춰 위성 하드웨어를 개발-생산할 수 있는 규모와 시설을 갖췄다”라며 “특히 새로 구축한 광학열진공챔버를 통해 더 효율적인 생산 시스템을 마련, 내년에 계획된 여러 위성 프로젝트를 더욱 빠르고 완성도 있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텔레픽스는 위성 탑재체부터 인공지능(AI) 기반 위성 정보 분석 및 활용 소프트웨어까지 위성 산업 전주기 기술을 보유한 위성 토털 솔루션 기업이다. 자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위성용 AI 온보드 프로세서 ‘테트라플렉스’가 올해 우주 발사 및 동작 검증을 성공한 바 있다. 최근에는 세계 최초 위성특화 생성 AI 기반 챗봇 서비스 ‘샛챗(SatCHAT)’을 정식 출시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