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레인보우로보틱스, 삼성전자)
(사진=레인보우로보틱스,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국내 대표 로봇 전문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 휴머노이드 등 미래로봇 개발을 가속화 한다고 31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2023년 868억원을 투자해 레인보우로보틱스에 대해 14.7%의 지분을 소유하게 됐으며, 최근 소유 중인 지분에 대해 콜옵션을 통해 지분을 35.0%로 늘려 2대 주주에서 최대 주주가 됐다고 전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연결재무제표상 자회사로 편입될 예정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국내 최초로 2족 보행 로봇 ‘휴보’를 개발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휴보 랩 연구진이 2011년 설립한 로봇 전문기업이다.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자회사로 편입, 인공지능(AI)과 소프트웨어 기술에 로봇 기술을 접목해 지능형 첨단 휴머노이드 개발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휴보2 (사진=레인보우로보틱스)
휴보2 (사진=레인보우로보틱스)

이를 위해 대표이사 직속의 미래로봇추진단도 신설했다. 이는 휴머노이드를 포함한 미래로봇 기술 개발에 집중하는 조직으로, 미래로봇의 원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해 핵심 성장 동력화 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창업 멤버이자 KAIST 명예교수인 오준호 교수는 레인보우로보틱스 퇴임 후 삼성전자 고문 겸 미래로봇추진단장을 맡게 됐다.

두 회사간 시너지협의체도 운영할 계획이다. 시너지협의체는 미래로봇 기술 개발은 물론 로봇 사업 전략 수립과 수요 발굴 등 두 회사의 성장을 돕는 가교 역할을 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협동로봇과 양팔로봇, 자율이동로봇 등을 제조, 물류 등 업무 자동화에 활용할 계획이다. 현장에서 발생하는 상황별 데이터, 환경적 변수 등을 AI 알고리즘으로 학습하고 분석해 작업 능력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글로벌 영업 인프라를 활용해 해외 시장에 적극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 주주가 되며 미래로봇 개발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라며 “결국 두 회사의 성장에 모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