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최근 드론을 이용한 교도소 마약 밀반입 사례가 급증하면서 영국과 웨일즈의 교정당국이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의 갱단들은 드론을 이용해 교도소로 마약을 밀반입하기 위해 고도로 숙련된 드론 조종사를 고용하기까지 했다고 전해졌다.

가디언은 1일(현지시간) 정보공개 요청을 통해 2024년 1~10월 영국과 웨일즈의 교도소에서 드론 활용 마약 밀반입 사건이 1296건 발생한 것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2020년에 비해 무려 10배 증가한 수치로, 월평균 130건의 드론 사건이 발생하고 있으며 2024년에는 모두 1550건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드론 밀반입은 주로 밤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제 사건 수는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다.

잉글랜드 랭커셔주 레일랜드에 위치한 HMP 가르트 교도소의 찰리 테일러 최고 감사관은 "교도소 창문으로 밀수품을 배달하려는 드론이 너무 많아, 한 수감자는 이를 공항에 비유했다"라고 말했다.

교도소 내 마약 거래는 매우 수익성이 높아 갱단들은 일반 드론 조종사를 고용해 수감자 창문으로 물품을 직접 전달하고 있다. 고급 드론은 열화상 장비를 장착, 어두운 밤에도 불법 물품을 몇kg까지 운반할 수 있다.

영국과 웨일즈는 2024년 1월 모든 폐쇄형 교도소와 청소년 교도소에서 400m 이내로 드론을 비행하는 것을 범죄로 간주하는 법을 시행했지만, 드론을 통한 밀반입은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법을 위반한 드론 운영자는 최대 2500파운드(약 460만원)의 벌금에 처해지며, 불법 물품을 밀수한 경우 최대 10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을 수 있다.

일부 교도소는 드론 감지 기술을 도입했지만, 대부분의 교도소는 드론의 접근을 적극적으로 차단하지 않고 있는 실정으로 알려졌다. 또 많은 교도소가 낡은 상태라, 수감자들은 창문을 쉽게 뚫고 밀수품을 빗자루 등으로 쉽게 낚아들인다는 설명이다.

앤디 슬로터 노동당 하원 위원장은 "드론을 이용한 마약 밀반입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교도소에 더 많은 예산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또 "드론이 교도소 공역에 진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신호 차단기와 같은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할 것"이라며 "이 문제가 공항이나 군사 시설에서 발생했다면 이미 해결되었을 문제"라고 덧붙였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