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 기금에 100만달러(약 14억6000만원)를 기부한 기업에 합류했다. 이로써 미국 내 시가총액 상위권 기업 중 취임 기금 기부가 확인되지 않은 곳은 엔비디아만 남게 됐다.
카란 바티아 구글 정부 및 정책 담당 책임자는 9일(현지시간) CNBC에 “구글은 유튜브에서 라이브 스트리밍을 하고 홈페이지에 직접 링크를 제공하여 2025년 취임식을 지원하게 되어 기쁘다"라며 "또 취임 위원회에 기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구글은 과거에도 취임식에 기부한 적이 있으며,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과 구글 홈페이지의 취임식 링크는 이전과 동일한 방식이라고 밝혔다.
구글은 현재 검색 독점 판결로 인해 미국 법무부의 조치를 기다리고 있다. 또 트럼프 행정부는 기술 규제를 완화하겠다고 밝혔지만, 구글 등 빅테크에 대해서는 날을 세우고 있다.
실제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달 소셜 미디어를 통해 ″빅 테크 기업들은 수년간 난폭하게 행동하며 우리의 가장 혁신적인 부문에서 경쟁을 억누르고, 시장 지배력을 이용해 수많은 미국인과 소규모 테크 기업의 권리를 탄압하고 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
이 때문에 세르게이 브린 구글 창립자와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는 선거 후 트럼프 당선인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어 MS도 같은 날 100만달러를 기부 사실을 밝혔다. MS는 이미 트럼프 대통령 첫 취임식과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식에도 50만달러를 기부한 바 있다.
또 사티아 나델라 MS CEO는 이미 여러 차례 트럼프 당선인을 만난 바 있다. 특히 지난 주에는 브래드 스미스 MS 부회장 겸 사장이 트럼프 행정부를 향해 ”미국은 전 세계적으로 AI를 신속하게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한 국제 전략이 필요하다”라며 이번 회기연도에 800억달러(약 117조원)를 데이터센터에 투자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이로써 취임식 기부 의사를 밝힌 곳에는 구글과 MS를 비롯해, 애플, 아마존, 메타 등 빅테크가 대부분 포함됐다. 어도비도 이날 같은 뜻을 밝혔다.
시가총액 1위를 다투는 엔비디아는 아직 자금 지원을 발표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 젠슨 황 CEO는 "트럼프 당선인을 만나고 싶지만, 아직 초청받지 못했다"라고 밝힌 바 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