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목포대학교(총장 송하철)와 전남대학교(총장 직무대리 김병인)는 1월 20일부터 21일까지 여수 신라스테이에서 'ESG+ 혁신 아이디어톤'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양 대학 재학생 각 20명씩 총 40명이 참가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광주·전남 지역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취지로 마련되었다.
참가자들은 10개 팀으로 나뉘어 다양한 ESG 기반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열띤 경연을 펼쳤다.
특히 월드비전 사회공헌본부 강용택 팀장이 진행한 특강 'ESG와 SDGs(지속가능발전목표)'는 학생들에게 ESG의 중요성과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를 연결하는 관점을 새롭게 제시하며 호응을 얻었다.
경연의 하이라이트는 참가자들이 발표한 혁신적 프로젝트였다. 심사 결과, 'CleanCup 캠페인: ESG 캠퍼스의 시작, 학생들의 작은 실천'을 제안한 이정윤(국립목포대), 곽예지(국립목포대), 류민석(전남대), 김형우(전남대) 팀이 대상을 수상했다.
이 캠페인은 대학 내 친환경 실천 문화를 확산하고, ESG 기반의 지속 가능한 캠퍼스를 조성하는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한 점에서 심사위원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국립목포대 박성현 기획부처장은 "이번 아이디어톤은 학생들의 열정과 창의성을 통해 대학 운영의 친환경적 전환과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가능성을 제시한 자리였다"며, "이번 프로그램이 단순한 이벤트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설계하는 중요한 발판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양 대학은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이 ESG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깊은 인사이트를 얻고, 지역사회와 협력할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한 점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국립목포대는 이 아이디어톤을 기반으로 학생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후속 활동과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ESG+ 혁신 아이디어톤'은 지역사회와 대학의 협력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실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된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