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영국 정부의 개인정보 열람을 위한 '백도어' 구축 요구에 반발, 소송을 제기했다. 이 문제는 애플을 넘어 트럼프 행정부까지 나서는 등 국가 간 갈등 양상으로 확대되고 있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4일(현지시간)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애플이 보안 서비스에 대한 불만 사항을 관할하는 영국의 독립적인 사법 기관인 조사권한재판소에 소송을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소송은 최근 영국 정부가 애플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암호화된 데이터의 백업본을 만들라고 지시한 데 따른 것이다.
영국 정부는 국가 안보와 아동 성적 학대 방지 등을 이유로 메시징 서비스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행사하고 있다. 그러나 애플은 강력한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사용자 정보를 암호화해 보관하고 있다. 영국 정부는 지난 1월 이를 열람할 수 있는 별도 조치를 요구한 것이다.
애플은 이에 따라 우선 영국에서 온라인 백업 서비스를 철회하고 법적 소송을 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정부도 애플이 명령에 따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조사권한재판소는 영국의 요청이 합법적이었는지를 검토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취소를 명령할 수 있다. 또 빠르면 이번 달에 심리될 수 있지만, 대중에 내용을 공개할지는 불확실하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새로 임명된 정보국장은 영국을 비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영국의 요구를 중국의 감시에 비유했고, 툴시 가바드 미국 국가정보국장은 미국인의 데이터를 도청하는 것은 심각한 개인 정보 침해라고 말했다.
이처럼 영국과 유럽 정부는 애플을 비롯해, 메타와 같은 빅테크에 개인정보 암호화를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을 내놓으라고 압박해 왔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며 그동안 갈등이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미국은 이 외에도 AI 규제와 빅테크에 대한 독점 수사 등이 모두 자국 기업을 타깃으로 한 공격이라고 비난하며 관세 협박으로 맞서고 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