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가 탄소중립 실현을 앞당기기 위해 올해 1천950억 원을 투입해 전기 및 수소자동차 1만 2천578대의 구매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전남도에 따르면, 올해 보급하는 전기자동차는 총 1만 1천746대로, 승용차 8천49대, 화물차 2천887대, 버스 87대, 어린이 통학차 17대, 이륜차 706대가 포함된다. 수소자동차는 총 832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전기차 구매 보조금은 차량 성능과 유형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승용차 최대 1천463만 원, 화물차 최대 2천400만 원, 어린이 통학차 최대 1억 2천100만 원이 지원된다.
수소차의 경우, 승용차 3천750만 원, 저상버스 3억 3천700만 원, 고상버스 3억 7천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소득·연령별 맞춤형 지원책 확대
전남도는 친환경차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자녀 가구, 차상위계층, 청년, 소상공인 등을 대상으로 추가 혜택을 제공한다.
전기 승용차 구매 시 다자녀 가구는 최대 300만 원, 전기택시는 250만 원을 추가 지원받는다. 또한, 차상위 이하 계층과 청년의 생애 첫 구매자는 국비 지원액의 20%를 추가로 받을 수 있다.
전기 화물차 구매 시 소상공인과 차상위 계층은 국비 지원액의 30%, 농업인과 택배 차량은 10%의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전남 지역에서 생산된 전기차 구매 시 승용차 130만 원, 이륜차 60만 원의 도비 지원이 추가된다.
친환경차 경제적 혜택, 얼마나 될까?
친환경차 구매자는 보조금뿐만 아니라 연료비 절감 효과도 누릴 수 있다.
전기차의 경우, 휘발유 차량(연비 12km/L)이 연간 15,000km를 주행하면 약 225만 원의 연료비가 발생하지만, 전기차(연비 6km/kWh)는 같은 거리에서 37.5만 원으로 연간 약 187.5만 원 절감이 가능하다.
수소차 역시 연료비 절감 효과가 있다. 경유차(연비 12km/L)는 연간 212.5만 원의 연료비가 들지만, 수소차(100km/1kg)는 약 120만 원으로 연간 약 92.5만 원의 절감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자동차세 감면(전기차 연 13만 원, 내연기관차 연 28만 원), 공영주차장 및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등의 혜택도 제공된다.
이를 종합하면, 전기차를 5년간 운행할 경우 내연기관 차량 대비 약 1,200만 원 이상을 절약할 수 있다.
온실가스 감축 효과, 연 3만 톤 이상 기대
친환경차 보급이 늘어나면서 탄소 배출 저감 효과도 기대된다.
환경부에 따르면 전기차 1대당 연간 약 2.5톤의 이산화탄소(CO₂)를 감축할 수 있으며, 전남도가 올해 보급하는 전기차(1만 1,746대)를 적용하면 연간 약 2만 9,365톤의 CO₂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수소차 1대당 감축 효과는 약 3.2톤으로, 올해 보급 목표인 832대를 적용하면 연간 약 2,662톤의 CO₂ 감축 효과가 기대된다.
이를 합산하면, 올해 전남도에서 보급하는 친환경차를 통해 연간 3만 2천27톤의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하다. 이는 30년생 소나무 약 470만 그루를 심는 효과와 맞먹는다.
충전 인프라 확충 지속 추진
전남도는 친환경차 보급 확대와 함께 충전 인프라 확충에도 주력하고 있다.
현재 전남에는 전기차 충전시설 1만 3,073기, 수소충전소 12기(9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도는 농어촌 지역에도 이동식 충전소 도입을 검토하는 등 충전 편의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박종필 전남도 환경산림국장은 "전남도의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이 18.3%에 달하는 만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친환경차 보급이 필수적"이라며 "충전 인프라 확대와 보급 지원을 강화해 도민들의 친환경차 도입을 더욱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친환경차 장점은 '전기·수소차 보급으로 탄소중립 실현 가속화로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있다. 또 '연료비·세금 감면, 유지비 절감의 경제적 혜택과 내연기관 대비 조용한 주행에 따른 저소음·승차감 향상'이다.
반면에 단점과 과제는 '충전 인프라 부족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충전소 접근성이 낮다'는 문제와 '장기 사용 시 배터리 수명 문제로 교체 비영 발생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 있다.
또 '보조금 지원에도 불구하고 초기 구매비용이 높다'는 점과 '배터리 폐기에 따른 환경적 영향을 고려한 재활용 대책 필요하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친환경차 구매 희망자는 주민등록(사업자등록) 관할 시·군에서 신청 가능하며, 세부 자격 요건은 각 시·군 누리집 고시공고란 또는 무공해차 통합누리집(www.ev.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남도는 앞으로도 친환경차 보급과 충전 인프라 확충을 지속하며, 탄소중립 실현과 함께 도민들의 실질적인 경제적 혜택을 강화할 계획이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