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센드버드(대표 김동신)가 12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기업용 AI 에이전트 빌더 플랫폼과 이를 활용한 고객 지원 및 영업 자동화 전략을 발표했다.
센드버드는 기업들이 AI 에이전트를 손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AI 에이전트 빌더와 플랫폼을 선보인다.
AI 에이전트 빌더는 직관적인 대시보드를 제공해 기업이 손쉽게 AI 에이전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AI 에이전트 플랫폼은 대규모 기업을 위한 확장형 솔루션으로 복잡한 환경에서도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업들은 코드 작업 없이도 Al 에이전트를 설계할 수 있어 기업별 고객 서비스 방식과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AI 에이전트를 빠르게 구축할 수 있으며, 카카오톡과 , 왓츠앱, SMS 등 다양한 고객 커뮤니케이션 채널과 연동해 개인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답변을 생성하는 기반 모델은 'GPT-4o', '클로드 3.7 소네트' 등을 출시 직후 연동할 수 있다. 센드버드의 엔지니어링 팀이 각 기업들의 요구에 적합한 모델을 추천하고 필요에 따라 여러 모델을 통해 답변을 생성한다고 설명했다.
현장에서 센드버드 AI 에이전트 빌더의 세부 기능을 선보였다.
기업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마케팅 채널을 통합 관리하며 브랜드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를 개발할 수 있으며 실시간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게 지원한다.
특히 자체 세이프가드를 구축해 기업의 컴플라이언스와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등 안전장치를 마련했다. 또 자체 테스트를 통해 AI 에이전트의 성능과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게 한다. 필요에 따라 기존의 CRM 소프트웨어와 기업내 생산성 소프트웨어와 연동할 수 있다.
샤일리시 날라와디 제품 총괄은 ”최근 자연스럽게 사람의 언어를 처리할 수 있게 모델의 성능이 높아졌고, 센드버드 플랫폼에 답변의 평가 모델을 추가해서 위험 단어를 막을 수 있는 가드레일 추가하면서 답변의 안전성을 보완하고 있다“라며 ”이를 통해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고 최종 고객에게 연관성이 높은 답변을 생성하도록 답변과 운영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센드버드는 이미 국내외 기업들이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고객 응대 속도를 높이고, 세일즈 전환율을 개선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밝혔다. 핀테크, 이커머스,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AI 에이전트를 도입하며 고객 응대 성공률을 최대 97%까지 개선하는 등 기업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는 것이다.
롯데홈쇼핑이 파트너사 OA 및 응대 프로세스 개선을 목표로 센드버드 AI 에이전트를 도입한 것을 예로 들었다. 신규 입점 파트너사는 AI 에이전트 '모니(Moni)'를 통해 OA 절차를 빠르게 익히고, 방송 준비 과정을 효율화할 수 있다. 또 롯데홈쇼핑은 AI를 활용해 일 평균 53회의 파트너 온보딩을 진행하며, 전 상품군에 대해 일관된 QA 절차를 제공하고 있다. 영문과 중문 등 해외 서류의 번역 제공으로 업무 효율성이 향상됐다고 소개했다.
날라와디 제품 총괄은 “미국의 경우 AI 에이전트 도입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고, 인건비가 높은 국가일수록 AI 에이전트로 대체하는 경향이 빨라지고 있다”라며 ”국내 중견, 대기업에서도 AI 에이전트 전환이 빠르게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라고 전했다.
센드버드 솔루션은 영업과 고객지원에 집중해 고객 서비스 업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를 제공하고, 향후에는 홍보 및 마케팅, 배송·주문, 재무 및 법무 등 비즈니스 전반을 아우르는 AI 에이전트로 확장할 계획이다.
김동신 대표는 “센드버드는 AI에이전트 고도화를 통해 에이전트 투 에이전트(A2A) 이코노미 시대를 준비할 것“이라며 ”A2A는 AI에이전트들이 서로 정보 교류, 협상, 거래 등 일련의 업무를 주체적으로 실행하는 경제 구조를 의미한다“라고 말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