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는 12일 열린 장관회의에서 인공지능과 과학기술 활성화 방안(AI+S&T)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우선 연구개발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신약 ▲신소재 ▲반도체 ▲우주 탐사 ▲이차전지 ▲에너지 ▲친환경 ▲양자 컴퓨팅 등 8대 유망기술의 연구개발(R&D)에 특화된 AI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반복실험 수행이나 대규모 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고난이도 연구 수행을 지원하고 이를 과학기술 전반에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새로운 과학기술 지식 창출에 특화된 차세대 AI+S&T 기반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AI로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과학적 원리를 도출하는 등 과학적으로 고차원의 난제를 도움이 되는 기술이다. 

원자로 운영, 기후변화 예측, 재난, 범죄 등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한 분야에서 AI 융합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이를 위한 컴퓨팅 수요 확보를 위해 600페타플롭스(PF)급 슈퍼컴퓨터 6호기를 연내 구축하고 내년 상반기부터 서비스를 시작한다. 소규모 연구에 특화된 40PF급 기반 시설도 구축할 계획이다. 

고품질 데이터확보를 위해 국내 산학연 연구자가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연구데이터 공유 플랫폼과 AI 모델을 구축한다. 

이 밖에도 AI 활용 능력에 대한 교육과 연구관리 행정에 AI 도입을 추진한다. 

유상임 장관은 “과학기술을 둘러싼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AI활용 연구개발 패러다임 전환은 국내 과학기술 연구역량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며 “이번 전략을 바탕으로 연구현장의 AI 내재화를 통해 차별화된 원천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미래 신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