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딥시크 직원들의 여권을 회수하고 출국을 금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딥시크 기술을 국가 기밀로 지정, 외부 유출을 막기로 한데 따른 것이다.
디 인포메이션은 14일(현지시간) 소식통 3명을 인용, 딥시크가 중국에서 국보급 지위를 얻었으며 그 결과로 여행 금지 등의 제한을 받게 됐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딥시크와 모회사 하이플라이어 일부 직원들은 최근 정부로부터 여권을 제출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이는 딥시크 기술이 외부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조치라는 설명이다. 또 일부 직원은 업무 특성상 무역 비밀이나 국가 비밀이 될 수 있는 기밀 정보를 접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확하게 몇명이 이번 조치에 포함됐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 딥시크에는 130명의 직원이 있으며, 하이플라이는 200여명이 있다. 량원펑 창립자가 포함됐는지도 불확실하다.
중국은 일반적으로 공산당원이나 정부 관리, 국유기업 임원의 해외여행을 종종 제한한다. 최근 몇년 동안 이런 제한은 학교 교사와 국유기업의 일반 직원과 같은 공공 부문 근로자로 확대됐다.
그래도 딥시크 같은 사기업이 이런 규제를 받는 것은 매우 드문 일로 꼽혔다. 특히 딥시크는 모회사인 하이플라이어로부터 전액을 지원받았으며, 외부나 정부의 도움을 받은 일은 없다.
또 정부는 딥시크 직원들의 이직도 제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딥시크 직원에 취업 제안을 한 중국 헤드헌터 중 일부는 저장성 정부 관리들로부터 직원을 건드리지 말라는 전화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딥시크는 저장성의 수도인 항저우에 본사를 두고 있다.
딥시크 역시 정보 유출 가능성을 이유로 직원들에게 외부인과 업무에 대해 논의하지 말라고 거듭 지시했다. 여기에는 'R1'의 후속 모델 'R2' 문제도 포함됐다.
딥시크와 접촉하는 것도 공산당의 허락을 받아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투자자들은 먼저 저장성 공산당 사무국에 연락해 담당 공무원에게 문의하라는 말을 들었다.
이런 상황 변화는 중국 정부가 딥시크의 기술을 국가 기밀로 생각하고 철저한 관리에 들어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회사는 모델을 오픈 소스로 공개했음에도 불구, 오픈AI의 'o1'을 증류했는지 엔비디아의 첨단 칩을 사용했는지 등은 알려지지 않았다. 아직 공개하지 않은 핵심 엔지니어링 기술이 있다는 말도 나왔다.
특히 차기 모델 R2와 V4 출시가 임박하며 보안 수위를 부쩍 높이는 모양새다. R2는 당초 5월 출시 예정이었으나, 일정을 앞당긴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가들은 이런 변화가 딥시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평을 내놓았다. 딥시크가 성공한 원인 중에는 지난 2년간 벤처 캐피털이나 정부로부터 독립적이고 낮은 인지도를 유지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중국을 대표하는 스타로 올라섰으며, 특히 중국 국영 언론들은 민간과 공공 부문, 전통적 경제와 신경제 모두에서 AI 도입을 위한 주요 원동력으로 띄우고 있다.
이 때문에 국가적 관리를 받는 것을 피할 수는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 AI로 투자 관리했다는 딥시크 창립자...중국서 '양적 펀드' 붐 일으켜
- '신규 다운로드 금지'된 딥시크, 여전히 국내 AI 앱 사용량 5위권
- 과다 트래픽으로 서비스 장애 시달리는 딥시크..."그래도 외부 투자는 안 받아"
- 알리바바, 딥시크·오픈AI 넘는 추론 모델 출시..."오픈 소스 최강 입증"
- 딥시크, API 매출 급증으로 첫 흑자..."매출보다 연구에 집중"
- 미 상무부, 정부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 금지
- 중국, 딥시크 이어 마누스 밀어 주기 나서
- 딥시크, 'V3' 업그레이드 버전 오픈 소스 공개...'V4' 출시 기대감 높여
- "딥시크 출력 중 74%가 오픈AI와 일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