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 지역 맞춤형 '복지+의료+안전' 융합서비스 기반 강화
전남 보성군이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로 인한 복지·의료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복지+안전' 및 '치매 예방' 두 축의 통합적 행정서비스를 본격적으로 가동한다.
군은 행정안전부가 주관한 '2025년 읍면동 스마트 복지·안전서비스 개선모델 개발 지원사업'에 '복지에 안전을 더하다! 스마트 온(ON)마을 600사업'이 선정되며, 총 4천만 원 규모의 국비 사업을 확보했다.
이번 사업은 고립된 고령 주민 등 안전취약계층을 위해 태양광 LED, 스마트 지팡이, 전동차 안전 덮개를 설치하는 등 생활밀착형 안전 장비를 지원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특히 '우리동네 복지기동대', '남도사랑봉사단', '여성자원봉사회' 등 기존 복지 인프라를 총동원해 읍면 단위 복지안전협의체를 구성, 지역 내 통합적 대응체계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전체 읍면을 대상으로 한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예산 규모가 소규모에 머물러 실효성 확대를 위한 추가 확보 및 연계 정책이 필요한 과제로 지적된다.
한편, 보성군은 지난 8일 조선대학교 광주치매코호트연구단과 치매 조기 예측 및 정밀검진 무상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보성군 내 60세 이상 모든 주민을 대상으로 치매 고위험군 선별검사 및 정밀진단이 전액 무료로 제공되며, 혈액·유전자 검사부터 MRI, PET 촬영까지 정밀 단계별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이는 단순 보건서비스가 아닌 전문 의료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지역 중심 치매 예방 시스템 구축으로, 전국 지자체 중에서도 선도적인 모델로 주목된다.
다만, 고위험군 판정 이후의 장기 돌봄이나 정신건강 관리 체계 구축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김철우 보성군수는 "이번 복지·의료 사업을 통해 군민 모두가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행정의 사각지대를 줄여가겠다"며 "생활 현장에 밀착한 맞춤형 정책을 통해 고령화 시대에 걸맞은 보성형 복지 모델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