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형발전은 선택이 아닌 필수…국가경쟁력의 핵심 열쇠는 지역에 있다"

오는 6월 3일 조기 대선을 앞두고, 전라남도 동·서부권의 경제계를 대표하는 상공회의소들이 잇달아 성명서를 발표하며 지역 핵심 현안의 대선 공약 반영을 강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목포상의가 '전남서부권 대약진 혁신과제'를 대선공약에 포함시켜 줄 것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목포시)
목포상의가 '전남서부권 대약진 혁신과제'를 대선공약에 포함시켜 줄 것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목포시)

목포상공회의소와 여수·순천·광양상공회의소는 각각 서부권과 동부권의 산업·인프라·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규모 전략사업들을 제안하며, 균형발전과 국가경쟁력 제고의 실질적 토대 마련을 촉구했다.

목포상의 "소멸 위기 벗어나 대약진 위한 국가적 투자가 절실"

목포상공회의소(회장 정현택)는 24일 발표한 성명에서 전남 서부권의 구조적 문제로 ▲1차산업 위주의 산업 고착 ▲청년층 유출 ▲정주 여건의 한계를 지적하며, 정부의 정책적 대전환 없이는 지역 소멸의 흐름을 멈출 수 없다고 경고했다.

이에 목포상공회의소는 ▲AI·재생에너지 기반 첨단산업 육성 → '솔라시도 AI 에너지 신도시' 조성으로 지역 혁신거점 확보 ▲해군 MRO 및 해양방산 산업 육성 → 'K-해양 방위산업 혁신밸리' 조성으로 국가 안보와 연계한 경제 기반 확보 ▲AI 농·축산 융복합지구 조성 → 농축산업의 고부가가치화와 디지털 전환 촉진 ▲무안국제공항 거점화 → 동북아 대표 관문공항으로 기능 확대 ▲초광역 교통망 구축 → 영암광주 초고속도로, 진도영암 고속도로, 서해안 철도 신설 등 5대 핵심과제를 촉구했다.

정현택 회장은 "이제 전남서부권은 대약진의 시기로 나아가야 한다"며 "차기 정부가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고 밝혔다.

순천, 여수, 광양상의가 대선공약 반영 촉구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순천상의)
순천, 여수, 광양상의가 대선공약 반영 촉구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순천상의)

여수·순천·광양상의 "산업 위기 극복, 첨단산업 전환이 시급"

같은 날 오전, 여수(한문선), 순천(이흥우), 광양(우광일) 3개 상공회의소 회장단은 전라남도 동부청사에서 1,400여 회원사의 뜻을 모은 공동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전남 동부권이 국가경제를 지탱해온 석유화학·철강 산업의 구조적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첨단 전략산업으로의 대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동부권 3개 상의 공동 제안 핵심 과제는 ▲석유화학·철강 대전환 메가 프로젝트 추진 → 위기지역 특별지정, 법률 개정, 친환경·AI산업으로 재편 ▲우주발사체 특구 내 제2우주센터 조성(고흥) → 세계 5대 우주강국 도약을 위한 전진기지 확보 ▲K-디즈니 문화산업단지 조성 → 청년 일자리 창출과 신성장동력 확보 ▲여수공항 남해안 중심 항공거점 육성 → 남해안권 관광·산업 연결 교통 인프라 확대 ▲초광역 교통망 확충 → 철도·고속도로 등 접근성과 연결성 제고 등이다. 

회장단은 "동부권의 산업 재편은 지역 생존을 넘어, 대한민국 산업구조의 미래를 결정짓는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날 두 지역 상공회의소 모두 "차기 정부의 국정과제 채택"을 요구하며, 정당과 대선 후보들에게 책임 있는 정책 반영을 촉구했다.

전남 동부권(여수·순천·광양)과 서부권(목포·무안·해남 등)은 산업구조나 지리적 특성에서는 차이를 보이지만, 이번 대선 공약 촉구 성명을 통해 드러난 공통된 지향점은 분명하다. 바로 '지역발전형 국가균형전략'의 실현이다.

두 지역 모두 수도권 집중으로 인한 정주 여건의 악화, 청년 유출, 산업 쇠퇴라는 문제를 공통적으로 겪고 있으며, 이를 국가 차원의 전략적 투자와 제도적 지원 없이는 극복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단순한 지역 지원을 넘어서, 국가 전체 산업 및 공간 전략의 재편 속에서 각 지역이 주도적인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서부권은 1차 산업과 공공 인프라 미흡, 동부권은 기존 주력산업의 구조적 위기라는 각자의 위기를 안고 있다.

이들은 각각 AI·재생에너지 기반의 신산업, 우주·첨단소재 산업, 문화산업, 광역 교통망 확대 등을 통해 새로운 성장축을 만들겠다는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지역 특성에 맞는 발전 전략을 통해 국가 전체의 균형 있는 성장을 견인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결국 전남 동서권의 이번 ‘동서 동맹’은 지역 간 경쟁이 아닌 상생과 균형발전의 전략적 연합이며, 중앙정부가 지방을 독립적인 성장 주체로 인정하고 전략적으로 육성할 필요성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는 단지 전남의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설계에 다름 아니다. 지방경제의 첨병 역할을 해온 상공회의소들이 직접 나서서 정책 반영을 촉구하는 것은, 그만큼 상황이 절박하다는 방증이다. 

전남 동서 주요 도시들이 제시한 제안들은 단순한 민원성 요구가 아니라, 지방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구조적 전환 전략이다.

각 정당과 대선 후보들은 이제 '표심'만이 아닌 지역의 생존 전략에 대한 책임 있는 답변을 내놓아야 할 시점이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