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AI 견학 성과 바탕으로 제도화 나설 순천시의회 연구모임
시민 중심의 스마트도시 구현을 위한 실질적 준비 필요성 강조
순천시의회 'AI 기반 스마트시티 구축 연구모임'이 최근 2박 3일간의 서울 선진지 견학을 마친 가운데, 이번 현장 중심 활동이 단순한 탐방에 그치지 않고 향후 실질적인 정책 성과로 이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연구모임은 서초 유스센터, AI 허브, 서울시 빅데이터 캠퍼스, 서울시 교통정보센터,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 등 다양한 분야의 스마트시티 핵심 거점을 방문하며,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술이 어떻게 시민 삶과 연결되는지 직접 확인했다.
특히 서울시 빅데이터 캠퍼스에서는 정책 수립을 위한 데이터 분석 체계와 공공 데이터 개방 방식을 상세히 살폈고, 교통정보센터에서는 실시간 교통 흐름 제어 기술을 통해 도시의 효율성과 시민 만족도를 동시에 높이는 방식을 집중적으로 파악했다.
이 밖에도 AI 허브에서는 인재 양성과 기업 육성 모델을 통해 지역 산업과의 유기적 연결 가능성에 주목했다.
이세은 의원은 "순천 역시 기술 도입 그 자체보다, 시민의 삶을 개선하는 방향에서 스마트도시 전략을 구상해야 한다"며 "이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제는 '제도화와 실천'으로…구체적 조례 제정과 정책화 필요
전문가들과 시민단체들은 이번 연구모임의 활동이 실효성을 가지려면, 체험과 벤치마킹에서 멈추지 않고 조례 제정과 지역 맞춤형 정책 실행계획 수립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우선, 순천시의 실정에 맞는 'AI 기반 스마트시티 조례' 제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조례에는 스마트시티의 정의와 범위, 사업 추진 주체와 거버넌스 체계, AI 기술 활용 원칙과 윤리 기준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연차별 실행계획도 함께 수립되어야 한다.
또한, 연구모임 차원에서 정책 보고서 및 실행 가능한 정책안 도출이 요구된다.
단순한 선언적 계획이 아니라, 교통·환경·복지 등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AI 적용 방안을 담아야 하며, 시정 방향에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시민과의 거버넌스를 강화하고 지역 대학 및 기업과의 협업 구조를 만들어가는 것도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AI 정책은 기술자 중심의 설계가 아니라, 시민의 목소리를 담고 현장의 데이터를 반영하는 방식이어야 한다"며, "시민 의견 수렴을 정례화하고, 지역 기업과 협력해 시범사업을 운영하는 것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순천시의회 AI 기반 스마트시티 구축 연구모임이 이번 견학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제도적 뒷받침과 실행력을 갖춘 정책 설계를 본격화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시민 중심의 기술', '삶을 바꾸는 스마트도시'라는 원칙을 잊지 않고 순천만의 해법을 만들어가는 일이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