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는 7월 31일 국회에서 '에너지 분권 전략 포럼'을 개최하고, 재생에너지 기반의 RE100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구체적 전략을 논의했다. 

포럼에는 국회의원, 정부 관계자, 공기업, 학계 등 약 400명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전남도의 에너지 중심지 도약에 대한 기대가 모아졌다.

전남도 RE100·분산에너지 활성화 지원센터가 지난 4월 9일 녹색에너지연구원에서 박창환 전남정무부지사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사진=전남도)
전남도 RE100·분산에너지 활성화 지원센터가 지난 4월 9일 녹색에너지연구원에서 박창환 전남정무부지사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사진=전남도)

이번 포럼은 전남이 전국 최고 수준의 재생에너지 자원을 보유한 지역임을 바탕으로, 수도권 중심 산업구조의 한계를 넘는 대안으로 RE100 산업단지를 제시한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한국전력 등 17개 기관·단체가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산단 조성과 기업 유치를 위한 협력을 약속하기도 했다.

기조강연과 주제발표에서는 산업 재편의 필요성과 함께, 안정적 전력공급망 구축, 파격적인 정부 지원, 정주여건 개선 등 실질적인 뒷받침 없이는 성공이 어렵다는 점도 강조됐다.

실현가능성과 내실 있는 추진을 위한 점검

전남이 보유한 재생에너지 자원은 강점이지만, 실제 산업단지를 뒷받침할 인프라와 정주 환경은 아직 부족하다.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입주하려면 송배전망, 물류, 인력 확보 등 복합적인 지원이 따라야 한다.

RE100 자체는 글로벌 ESG 흐름에 부합하지만, 국내 산업구조상 재생에너지 100% 자립이 가능한 기업은 아직 제한적이다. 

산단 전체의 전력수급 안정성과 전기요금 특례 등도 현실적인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지역 주민에게 개발이익을 환원하겠다는 방향은 긍정적이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제도와 분배 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면 지역 갈등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결국, 이번 포럼은 비전을 공유한 자리였지만, 실현을 위한 '구체적 이행방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기대감이 오히려 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다. 

지금부터는 정책적 실효성과 현실성, 그리고 지역 수용성 확보를 중심으로 보다 정교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전남 RE100 산업단지 구상은 기후위기 대응, 에너지 전환, 지역균형발전이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반드시 논의돼야 할 주제다. 

그러나 현재의 기대감은 일부 과도한 측면이 있으며, 정확한 사업 타당성 검토와 제도적 보완, 실질적인 인센티브 구조 마련 없이는 공허한 선언에 그칠 우려가 있다.

포럼을 계기로 단지 유치와 개발을 위한 '전략 구상 단계'에서 '실행 기반 마련 단계'로 전환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정치·행정·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지속가능한 거버넌스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