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와 전남도의회, 목포대학교·순천대학교가 국립 통합의과대학 설립을 위한 본격 논의에 착수했다. 

이는 도민의 34년 숙원이자, 국가균형발전과 공공의료 확충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중대한 과제로 평가된다.

전남도 통합대학교 국립의과대학 설립 지원 특별위원회 간담회
전남도 통합대학교 국립의과대학 설립 지원 특별위원회 간담회

5일 전남도청에서 열린 간담회는 전남도의회 '국립의과대학 설립 지원 특별위원회' 출범 이후 첫 공식 회의로, ▲의대 설립 필요성 ▲정부 공약 및 국정과제 연계 전략 ▲공동 준비위원회 활동 현황 ▲정부 동향 분석 등을 공유하고, 구체적인 추진 전략을 논의했다.

간담회에선 특히, 향후 국립의대 설립을 위한 실질적 협력 방안으로 ▲정부·국회 설득을 위한 건의안 마련 ▲정책 논리 공동 개발 ▲범도민 협력 네트워크 구축 ▲전방위적 홍보 전략 등을 집중적으로 모색했다.

도의회 공동위원장단은 "전남에 의과대학이 없다는 현실은 명백한 의료 불균형"이라며, "정부를 설득하고 공론을 형성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지역대학 관계자들도 "국립대학으로서 공공성과 지역책임을 다해 국립의대 유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의지를 모았다.

전남도는 "이번 특별위원회가 의대 설립을 위한 결정적 촉매가 될 것"이라며, "지속적인 협력 체계를 바탕으로 정부 정책 반영과 국립의대 설립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전남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는 광역지자체로, 중증 응급·만성질환 대응에 심각한 지역 의료 불균형 존재한다. 

때문에 공공보건의료 인력 양성과 배치, 지역 내 의료인프라 확충은 국립의대 설립을 통해서만 구조적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이는 새정부의 지역균형발전 국정과제와도 일치하며, 국가적 책무로서 정책적 정당성이 확보되는 일이다. 

특히 목포대·순천대 등 지역 국립대 통합 운영을 통해 시너지 확보, 지역 역량과 인프라의 집약도 가능해진다. 

전남의 국립의과대학 설립은 단순한 교육기관 신설을 넘어, 의료복지 사각지대 해소, 지방소멸 대응, 국가균형발전 실현의 핵심 축이다. 지금이야말로 정부와 국회가 전향적으로 결단해야 할 시점이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