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국립의과대학 신설은 대통령의 대국민 약속으로 시작된 사안이다. 2026학년도 개교를 목표로 전남 지역 내 의료 공백 해소와 공공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국립의대를 설립하겠다는 정부의 발표는 지역민들에게 큰 기대를 안겼다. 

하지만 구체적 절차와 방안 마련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갈등과 대립이 발생했다. 초기에는 전남 동·서부의 양대 축인 국립순천대와 국립목포대를 통합하여 국립의대를 설립한다는 안이 제시되었다. 

전남국립의과대학은 정부가 책임 있게 나서야 한다는 현수막. (AI타임스DB)
전남국립의과대학은 정부가 책임 있게 나서야 한다는 현수막. (AI타임스DB)

그러나 정부가 '통합의대'는 불가하다는 방침을 내세우면서 방향이 바뀌었다. 그리고 이어진  전남도의 일방적인 공모방침은 동·서부 간 지역 갈등을 촉발시켰다. 

동부권(순천시·순천대)은 공모 철회를 주장하며 강하게 반발하였고 노관규 순천시장과 이병운 순천대 총장은 지역 공공의료 강화라는 명분을 내세우며 대립을 지속했다.

또한 진보당은 처음부터 줄곧 "순천과 목포에 의과대학과 대학병원 필요하다"고 한결 같이 강력하게 주장하면서 정부에 두 곳의 의과대학과 병원 신설을 요구했다. 

반면에 서부권(목포시·목포대)은 전남도의 공모에 협조적이었으나, 동부권의 강경한 태도로 갈등이 지속되었다. 이처럼 공모 과정은 양측의 정치적 이해관계와 지역민들의 상반된 의견을 노출시키며 협력을 가로막았다.

돌고돌아 지난 11월 15일, 국립순천대와 국립목포대가 지역 상생과 화합을 위해 통합에 합의하며 국립의대 설립 추진은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 양 대학은 정부의 '1도 1국립대' 정책을 수용하며, 통합의대라는 큰 틀에서 협력하기로 결정했다. 

양 대학의 이 합의는 지난 1년간의 갈등과 대립 끝에 이뤄진 성과로, 지역민들에게는 의료 인프라 확충이라는 목표를 위한 희망의 신호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이 같은 여러 난관을 거치는 과정에서 전남도는 국립의대 설립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를 드러냈다.

첫째는 공모방침의 문제다. 비록 대통령이 '하나'를 말했더라도 도지사는 "동·서부의 지리적 위치 등 전남이 처한 현실적인 지점을 설명하고 두 곳에 의대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강력하게 견지했어야 한다. 

그렇게 정부를 설득하고 도민을 하나로 묶어내는 역할을 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도지사는 "대통령의 '하나'라는 말 한마디 프레임에 갇혀 자신이 모든 것을 주도하고자 했다"는 비판이다. 

도지사가 지역 간 갈등을 완화하기보다 오히려 격화시켰다. 특히, 순천시와 목포시 간 신뢰 회복을 위한 중재 노력도 부족했다. 무엇보다 동·서부 지역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못해 공모 과정이 일방적으로 진행되었다는 ‘소통 부재’ 비판을 받았다.

또한 그로 인해 도지사와 순천시장이 첨예하게 대립하며 행정의 신뢰성이 손상되면서 '정치적 갈등'이 노출되었다. 순천시는 동부권 공공의료 강화를 위해 단독 의과대학 설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전남도의 일방적인 공모방침에 반발했다.

노관규 순천시장은 도지사의 공모방침이 동부권을 소외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하며 정치적 갈등을 감수했다. 결국 통합의대 설립의 불가피성을 인정하며 '대승적 합의'를 위해 협력에 동의했다.

정부와 도민들은 이제 무엇을 해야 하는가? 대통령과 정부 부처는 약속한 대로 신속한 행정 절차를 통해 2026년 개교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 갈등을 넘어 지역 상생과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의대설립 이후 공공의료서비스 강화와 지역의료 인프라 개선에 도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전남도는 도민 갈등을 유발한 정책운영을 되짚고, 향후 공정성과 투명성을 기반으로 한 행정 운영을 약속해야 한다.

전남 국립의과대학 설립은 단순히 의료 인프라 확충을 넘어 지역 간 화합과 협력의 상징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열었다.

이제 도민들은 의대설립이라는 공동 목표 아래 함께 나아가야 한다. 정부와 지역사회 모두가 협력하여 전남이 의료 선진지역으로 발돋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