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에만 2만 채가 넘는 빈집이 방치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주거 공실을 넘어 지역 소멸의 경고음이자 공동체 붕괴의 징후입니다. 이번 기획 시리즈 〈빈집 2만 채, 전남의 경고와 해법〉는 현장의 목소리와 정책의 한계, 그리고 새로운 활용 방안까지 함께 모색하고자 합니다. 문제를 드러내는 데 그치지 않고, 해결의 길을 독자와 함께 찾아 나가고자 합니다.[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① 전남 빈집의 현황과 심각성
② 철거 중심 정책의 한계
③ AI·데이터 기반 새 해법-해외·국내 실험 소개
④ 주민·민간이 주도하는 활용 모델
⑤ '전남형 모델' 제안-정책·로드맵 정리

전남 순천시에서 진행되는 빈집 철거 사업을 통해 철거되는 빈집 (사진=순천시)
전남 순천시에서 진행되는 빈집 철거 사업을 통해 철거되는 빈집 (사진=순천시)

전라남도의 빈집 수가 2만 채를 넘어섰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남의 빈집률은 15.0%로 전국 평균(8.0%)의 두 배에 달한다. 

한국부동산원의 행정조사 시스템 '빈집애'에 따르면 전남은 광역단위 중 유일하게 빈집이 2만 호를 넘어 전국 최다를 기록했다.

여수(약 2,760호), 목포, 순천, 고흥 순으로 빈집이 집중돼 있으며, 농촌과 도서지역에는 관리되지 않은 건물들이 곳곳에 방치돼 있다. 

"밤마다 빈집에서 들려오는 인기척 때문에 겁이 난다"는 주민의 말처럼, 빈집은 단순한 주거 문제를 넘어 안전·범죄·환경 리스크로 확대되고 있다.

빈집이 늘어나는 이유는 단순하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다. 일자리와 교육, 문화시설이 집약된 대도시로 젊은 층이 떠나면서 농촌에는 노년층만 남았다. 

농업 중심 산업구조가 한계에 부딪히면서 신규 투자는 줄고, 생활 편의시설 부족이 이탈을 가속화했다.

그 결과 전남의 일부 마을은 집은 남아 있어도 사람이 살지 않는, '텅 빈 마을'로 변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빈집은 지역 소멸의 가장 가시적인 징후"라고 말한다.

주민 불안, 지역 공동체의 붕괴

문제는 방치된 빈집이 마을 경관 훼손과 주민 불안으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창호가 깨진 건물, 지붕이 무너진 흉가는 작은 화재에도 대형사고로 번질 위험이 크다. 또 장기간 방치되면 범죄 은신처로 악용될 소지도 크다.

순천의 한 마을 주민은 "마을 한가운데 빈집이 서너 채 있는데, 아이들이 학교 갔다 올 때도 겁을 내요. 주민들끼리도 불안해서 모여 다니곤 한다"고 말한다.

빈집 문제는 단순히 건물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인구, 경제, 문화가 함께 쇠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다. 

전남은 지금 '빈집 2만 채 시대'를 맞이했다. 그리고 이는 단지 지역의 골칫거리가 아니라 대한민국 지방소멸 시대의 서막을 알리는 경고음에 다름 아니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