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트럼프 행정부가 인텔의 지분 10%를 인수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동시에 TSMC나 마이크론 등에게는 인텔처럼 지분을 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는데, 여기에서 삼성전자는 거론되지 않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트루스 소셜을 통해 “미국 정부는 89억달러(약 17조원)를 투입해 인텔 지분 9.9%를 취득한다”라고 발표했다.

인텔도 이 과정에서 정부가 주당 20.47달러, 총 4억3330만주를 확보했다고 확인했다. 이는 당일 인텔 종가(24.80달러)보다 약 4달러 낮은 할인된 가격이라고 설명했다.

인수 자금은 바이든 행정부 시절 제정된 CHIPS법(반도체 지원법)의 미집행 보조금 57억달러와 인텔 보안 프로그램 ‘시큐어 앤클레이브(Secure Enclave)’ 명목으로 배정된 32억달러를 활용한다.

인텔 주가는 이날 정규 거래에서 5.5% 상승 마감했고, 발표 이후 시간 외 거래에서도 약 1% 추가 상승했다.

이번 합의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립부 탄 인텔 CEO의 중국 기업 연루 문제를 이유로 사임을 요구했던 상황에서 급격한 반전을 가져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탄은 자리를 지키려 했고, 결국 미국에 100억달러를 안겼다”라고 말했다.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은 “인텔과 미국 국민 모두에게 공정한 합의”라고 평했다. 

인텔은 이번 정부 지분 참여가 수동적 투자(passive ownership) 성격이며, 이사회 의석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단, 특정 사안에 한해 예외를 두고 주주 의결권은 이사회 권고에 따라 행사된다.

또 이번 계약에는 5년간 유효한 워런트(warrant)가 포함돼 있어, 인텔이 파운드리 사업 통제권을 상실할 경우 정부는 주당 20달러 가격으로 추가 5% 지분을 취득할 수 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조치와 달리 TSMC와 마이크론 등 미국 내 투자를 확대하는 대형 반도체 기업에 대해서는 지분 취득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여기에서 삼성전자는 거론되지 않았다. 

또 루트닉 장관은 “앞으로도 보조금을 주는 기업에는 국민을 위한 몫을 챙기겠다”라며 다른 수혜 기업에 대해서도 추가 지분 투자를 시사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