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가 국가균형발전을 향한 새로운 공동 행정체제 구축에 나섰다.
두 지역은 특별지방자치단체(가칭 '광주·전남특별광역연합') 설치를 선언하고 연말 출범을 목표로 본격적인 준비에 들어갔다.
특별지방자치단체란 개별 지자체가 독자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여러 지자체가 조직과 재정을 묶어 공동으로 행정을 수행하는 제도다.
일종의 '연합 정부' 형태로, 광주와 전남은 이를 통해 초광역 단위의 협력체계를 갖추겠다는 구상이다.
두 지자체는 수도권 집중과 지방소멸 위기라는 국가적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이재명 정부의 '5극3특 국가균형성장 전략'과 발맞춰 합동추진단을 구성, 조직·재정·공동사무·규약 제정 등 특별지자체 출범을 위한 세부 절차를 추진하기로 했다.
첫 공동사무로는 '광주~나주 광역철도 사업'이 선정됐다.
광주·전남·나주 3개 지자체는 노선 합의를 오는 9월까지 마무리하고, 국토교통부와의 협의를 통해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되도록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는 지역 교통망 확충뿐만 아니라 산업·생활권을 하나로 묶는 초광역 인프라로 평가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광주·전남특별지자체는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이자 새로운 성장 기회"라며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하며 시·도민과 함께 미래를 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 역시 "전남과 광주는 하나의 뿌리에서 시작된 불가분의 관계"라며 "특별지자체를 통해 지역 공동체로 재도약하고 국가 성장의 새로운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선언은 단순히 두 지역의 협력을 넘어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새로운 실험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방시대위원회 김경수 위원장은 "광주·전남 특별지자체는 청년들이 지역에서 배우고, 일하고, 가정을 꾸릴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궁극적 목표"라며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AI 시대에 접어든 지금, 광주·전남 특별지자체는 행정 효율성을 넘어 데이터 공유, 스마트 교통, 신산업 융합 등 새로운 행정 모델을 실험할 무대가 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광주·전남이 함께 만들어가는 초광역 협력이 국가균형발전의 현실적 대안이자 지역 재도약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