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AI 대전환'을 핵심으로 하는 30대 선도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하면서 전남이 서남권의 대표 산업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전남은 광주·전북과 함께 AI와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중심지로 지정돼 침체된 지역경제를 되살릴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기획재정부가 지난 24일 발표한 '새 정부 경제성장전략'에 따르면, 서남권은 국가 차원의 AI 확산 전략과 맞물려 AI 로봇, 자율주행차, 미래 교통수단 실증지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정부는 AI 기술을 산업 전반에 적용해 잠재성장률 하락세를 반등시키겠다는 방침으로, 이 과정에서 전남의 산업·지리적 기반이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된다.
전남은 항만·물류 기반이 탄탄해 AI 로봇 실증 거점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2027년까지 물류 분야에 AI 로봇을 도입하고, 이후 제조·건설·서비스 전반으로 확산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또한 자율주행 분야에서도 2027년까지 레벨4(특정 구역 완전자율주행)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어, 전남 지역 교통 인프라와 결합할 경우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테스트베드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교육·인재 양성 분야에서도 AI는 핵심 키워드다. 정부는 지역 대학 및 연구기관을 활용해 'AI 한글화' 교육과 맞춤형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할 방침이다.
전남 내 대학과 산업단지가 함께 참여할 경우, 지역에서 곧바로 활용 가능한 AI 전문인력 풀이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AI 중심 성장 전략은 전남 경제 전반에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특히 농업, 에너지 등 전남의 특화산업이 AI와 접목되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부가 조성하기로 한 '100조원+알파' 국민성장펀드 역시 전남의 첨단 프로젝트 추진에 중요한 재정적 기반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전남이 맡게 될 AI·미래 모빌리티 역할은 단순한 기술 실증을 넘어 신규 일자리 창출과 청년 인구 유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정부가 약속한 청년 월세 지원, 대학생 '천원의 아침밥' 확대 지원과 같은 복지 대책도 결합하면, 전남은 젊은 인재들이 모여드는 AI 혁신 지역으로 탈바꿈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다만 AI 대전환이 가져올 부작용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기술 발전이 곧바로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소득 불평등 심화, 일자리 불안정 같은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할 정책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결국 전남은 정부의 AI 중심 성장 전략 속에서 서남권 신성장 엔진으로 도약할 기회를 맞고 있다.
AI 로봇과 자율주행차, 미래 모빌리티를 통해 지역 산업과 경제 체질을 바꾸는 전환점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