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슨 권 CSO가 오픈AI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제이슨 권 CSO가 오픈AI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오픈AI가 10일 국내 지사인 오픈AI 코리아의 공식 출범을 발표했다. 이는 아시아에서 세번째, 전 세계에서 열두번째 지사다.

오픈AI는 보도 자료를 통해 "한국을 차세대 글로벌 AI 허브로 선택했다"라고 밝혔다. 오랜 기간 기술 강국으로서의 명성을 쌓아왔으며, 첨단 인프라, 세계적 수준의 혁신 주도 기업, 그리고 기술 친화적인 소비자들이 조화를 이루는 독보적인 ‘풀스택(full-stack)’ 생태계를 갖추고 있어 AI 발전의 최적지로 손꼽힌다는 내용이다.

챗GPT 사용자 규모도 세계적 수준이라고 밝혔다. 국내 주간 사용자는 1년 전보다 4배 정도로 늘었고, 유료 구독자 규모도 전년 대비 3배 이상으로 증가하는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규모다. API 사용 측면에서는 전 세계 국가 중 10위권 내 포함돼 있다.

2022년 챗GPT 출시 이후 오픈AI는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이어오며, 최근 주간 활성 사용자 7억명을 돌파했다.

오픈AI 코리아는 국내의 산업, 학계,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며 국가의 AI 주도형 미래를 가속하는, AI 대전환을 위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되겠다는 비전을 내놨다.

이미 국내 주요 기업들과의 협력을 가속하며 국가 차원의 AI 대전환에 힘을 보태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2월 카카오와 전략적 제휴 이후 챗GPT와 카카오 생태계와의 연동을 준비 중이며, 건설과 전자, 통신, 금융, 여행, 게임, 이커머스,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선도 기업들이 'GPT-5' 등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사내 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한 단계 끌어 올리며 AI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 11일에는 서울대학교와 MOU 체결을 시작으로 학계와의 연구 협력을 본격화할 예정이며, ‘오픈AI 포 컨트리즈(OpenAI for Countries)’ 이니셔티브를 통해 한국 정부와의 협력도 한층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스타트업 생태계 역시 중점 분야 중 하나로, 오픈AI는 지난 2월 국내 최초 개발자 워크숍인 빌더랩을 개최한 데 이어 오는 12일에는 파운더스 데이를 열어 스타트업, 개발자, VC 간 네트워킹의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 11월에는 개발자와 스타트업, AI연구자들을 한자리에 모아 최신 기술을 공유하는 ‘데브데이 익스체인지(DevDay Exchange)’를 국내에서 개최할 계획이다.

크리에이터 커뮤니티와의 동반 성장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오픈AI의 영상 및 이미지 도구 활용 워크숍인 ‘크리에이티브 랩 서울’에는 21명의 국내 크리에이터가 참여했다. DDP 서울라이트 가을 행사에서는 '소라'로 제작된 미디어아트를 DDP 외벽에 투사했다.

제이슨 권 오픈AI CSO는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 혁신적인 기업, 빠른 디지털 도입 속도를 갖춘 AI 혁신의 최적지”라며 “오픈AI가 첨단 기술과 다양한 협력을 통해 산업, 학계, 정부 전반에서 한국의 AI 전환을 위한 혁신을 함께 만들어 나가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편, 오픈AI는 11일 오후 기업과 정부, 학계, 예술계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인사들을 초청해 지사 출범 축하 행사를 개최한다. 오픈AI에서는 제이슨 권 CSO와 브래드 라이트캡 COO, 올리버 제이 글로벌 비즈니스 총괄이 참여한다. 또 조앤 장 오픈AI 랩스 대표가 패널로 나서 'AI: 인류 협업과 혁신의 새로운 엔진'을 주제로 패널 토론을 진행한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