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챗GPT'에서 타사 앱을 직접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출시했다. 챗GPT 중심의 앱 생태계를 구축, 사용자들의 접근성을 확대하고 'AI 포털'이 되겠다는 의도다.

오픈AI는 6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포트 메이슨에서 열린 '데브데이 2025'를 통해 '앱스 인 챗GPT(apps in ChatGPT)' 기능을 발표했다. 또 앱 개발자들이 이를 도입할 수 있도록 '앱스 SDK(Apps SDK)'를 미리보기로 내놓았다.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들은 챗GPT 사용 중 타사 앱을 실행할 수 있게 됐다. 예를 들어, 챗GPT에 "피그마, 이 스케치를 실제 다이어그램으로 변환해 줘"라고 말하면 피그마 앱이 실행된다. 또 "코세라, 머신러닝에 대해 좀 가르쳐 줄 수 있어"라고 요청하면 코세라 앱이 구동된다.

이날부터 앱스 기능을 지원하는 초기 파트너로는 피그마와 코세라를 비롯해, 호텔 예약 앱 '부킹닷컴'과 '익스피디아', 음악 앱 '스포티파이', 부동산 앱 '질로우', 디자인 앱 '칸바'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기존 단독 앱에서 작동하는 방식처럼 챗GPT에서도 완전한 인터랙티브 UI를 구현할 수 있다. 또 특정 앱은 챗GPT에서 비디오를 표시할 수 있다.

오픈AI는 이번 기능 추가로 챗GPT와 대화 도중 다른 앱을 불러와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이때 챗GPT는 맥락과 조언을 제공하는 조력자 역할을 하게 된다고 밝혔다. 

샘 알트먼 오픈AI CEO는 이날 기조연설을 통해 "챗GPT가 사람들이 발전하고 생산성과 창의성을 높이고 더 빨리 배우고 삶에서 하고자 하는 모든 일을 더 잘 해낼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 되기를 바란다"라며 "이번에 포함된 앱들은 상호작용적이고 적응적이며 개인화된 차세대 채팅 앱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챗GPT에서 부킹닷컴이 작동하는 예 (사진=오픈AI)

더불어, 이런 앱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개발자용 툴킷 앱스 SDK의 프리뷰 버전도 출시했다. 이는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를 기반으로 하는 오픈 소스 도구다. 

오픈AI는 개발자가 앱스 SDK를 사용해 앱을 개발하면 8억명이 넘는 챗GPT 사용자에게 도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앱스 기능은 이날부터 EU 외 지역에서 무료를 포함한 모든 로그인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몇주 안에 배달 앱 '도어대시'와 '인스타카트', 레스토랑 예약 앱 '오픈테이블', 쇼핑 앱 '타깃', 차량 공유 앱 '우버'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올해 말에는 더 많은 파트너 앱이 추가될 예정이다.

또 기업과 개발자를 위해 앞으로는 챗GPT에서 앱을 수익화할 방법을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말부터 앱 제출을 접수해 검토 및 게시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기업들이 챗GPT 응답에 노출되기 위해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지, 또는 수익을 일부 공유해야 하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오픈AI는 무엇보다도 사용자 경험을 최우선으로 고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기능은 지난달 29일 출시한 챗GPT의 결제 기능 ‘인스턴트 체크아웃(Instant Checkout)’에 이어, 챗GPT를 웹 생태계의 중심에 배치하려는 전략에 따른 것이다. 결제 기능을 통해 챗GPT 사용자들은 대화창을 벗어나지 않고도 상품을 검색하고 결제까지 진행할 수 있게 됐는데, 이제는 챗GPT에서 다른 앱까지 실행하도록 조치한 것이다. 

이는 기존에 구글 검색을 통해 웹 페이지로 이동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이제는 챗GPT를 '포털'로 포지셔닝하려는 의도다. 

이런 시도는 이미 2023년부터 시작됐다. 당시 3월에는 인터넷 실시간 정보를 포함해 타사의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는 '플러그인(Plugins)' 기능을 출시했다. 이어 11월 첫 데브데이에서는 'GPT스토어'를 통해 모든 개발자와 회사가 맞춤형 GPT 앱을 구축하는 생태계 조성에 나섰다.

한편, 관심을 모았던 AI 브라우저는 이날 공개되지 않았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