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는 동형암호기술로 국제 유전체(게놈) 정보분석 보안경진대회 'iDASH 2020'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20일 밝혔다. 36팀이 참여한 이번 대회에서 삼성SDS는 서울대를 비롯한 2개 보안전문기업과 함께 '동형암호 기반 암종 분석' 부문서 공동 1위에 선정됐다.
동형암호는 개인정보 등 민감한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데이터를 암호화된 상태에서 분석, 처리하는 기술이다.
해당 부문은 제공하는 900여 명의 암호화된 유전체 변이 데이터를 동형암호기술로 분석하고 암 종류를 예측해야 한다.
iDASH는 2014년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후원으로 시작된 유전체 정보분석 보안경진대회다. 매년 글로벌 IT기업과 대학, 연구기관들이 참가해 동형암호, 블록체인 등 보안 신기술 역량을 겨루고 있다.
삼성SDS는 지난 2018년부터 동형암호 연구에 착수해 자체 기술을 확보하고 관련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삼성SDS에 따르면 금융기관의 고객 신용평가 분석과 의료기관의 중증 질환 예측 등에 동형암호 기반 분석서비스를 적용하기 위해 고객사와 기술 검증을 완료했다.
이상욱 삼성SDS 연구소장(전무)은 "이번 글로벌 경진대회를 통해 삼성SDS 동형암호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며, "지속적으로 기술을 고도화하고 산업현장의 활용도를 넓혀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AI타임스 양대규 기자 yangdae@aitimes.com
[관련기사] 래티스, 민첩한 사이버 공격 대응 위한 FPGA 보안 칩 공개
[관련기사] LGU+, 산업ᆞ의료분야에 ‘양자내성암호’ 적용
- 삼성SDS AI 기술 무료 체험, 12월 본격 오픈
- 금융·제약에서 '퀀텀점프' 기대하는 초기 양자 기술 시장
- KISTI, SDNㆍNFV 포럼 양자 암호 키 관리 워킹 그룹과 협력
- AI 기술, 정신 건강 회복에 활용 기대...연구·산업 생태계 조성해야
- 스타벅스, AI '딥브루' 도입해 새로운 혁신 꿈꾼다
- [블록체인 쿼바디스?] ⑤ 블록체인 최근 동향
- “인간 뇌 기능을 AI에 적용해보자” [특별기획 AI 2030] ⑱ 뇌인지 발달모사
- AI 경진대회 주관사 선정논란, 기존 운영 문제 업체 또 선정..개발자들 우려
- 삼성SDS, 1분기 매출·영업이익 모두 20%이상 증가...물류 사업 실적 견인
- 삼성SDS, AI 기반 컨택센터 솔루션 'AICC' 사업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