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대표이사 한성숙)는 허위 정보, 가짜 뉴스의 확산을 막고 이용자에게 신뢰성 높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팩트체크' 표기 기능을 강화했다.
검색 영역에서 팩트체크 관련 기사가 노출될 경우 이에 대한 팩트체크 정보를 바로 볼 수 있게 노출해준다.
29일부터 이 서비스를 개시해 검색시 보다 편리하고, 신뢰성 높은 정보를 이용자가 제공받게 됐다. 모바일에서도 온라인과 동일하게 업그레이드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에 사용된 'SNU 팩트체크 서비스'는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를 통해 30개 언론사들이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검증 과정을 거친 결과를 게시하는 플랫폼이다.
팩트체크에 참여한 언론사에 한해 다양한 근거자료를 활용해 대상인 기사를 검증한다. '사실, 대체로 사실, 절반의 사실, 대체로 사실 아님, 전혀 사실 아님, 판단 유보'의 총 6단계로 판정하게 된다.
현재에는 참여하고 있는 30개의 언론사에 한해서만 이 기능을 사용해 볼 수 있다. SNU factcheck 홈페이지를 통해 참여 기업에 대한 목록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언론사 제휴 문의도 이 사이트를 통해 추가로 신청할 수 있다.
네이버 뉴스는 언론사들에서 이슈가 되는 사안에 대해 독립적으로 취재해 검증한 결과를 모아볼 수 있는 본 서비스를 지난 2018년부터 제공해왔다.
2019년 4월부터는 기사 본문 아래 팩트체크 정보를 제공, 작년 3월엔 코로나19, 코로나백신 등 특정 주제와 관련한 팩트체크만 모아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팩트체크 서비스 기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왔다.
AI타임스 이하나 기자 22hnxa@aitimes.com
- 국내 AI 상장사, 지난해 성적 '양호'...올해부터 본격 성장 기대
- "열렸다! 스마트 물류 시대"...AI와 무인로봇 등 첨단 기술 본격 도입
- [박정현의 데이터사이언스 시작하기] ⑫ 데이터사이언스 전문가 인터뷰...신세계I&C 이환기 AI Lab장
- AI는 인간의 감정을 제대로 읽어낼 수 있을까
- [스페셜리포트]①개발자 부족과 임금 인상 러시, 어떻게 볼 것인가
- 네이버, 검색 서비스 전체에 GPT-3와 같은 대규모 AI 모델 적용
- 네이버, 국내 최초 '한국어 초거대 AI 언어 모델' 검색 서비스에 상용화
- 네이버 관계자, AI 인력 부족에 "실력만 있으면 고등학생도 괜찮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