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대표이사 한성숙)는 국내 최초로 한국어 기반의 초거대 AI 언어 모델을 자체 개발한 데 이어, 지난 6일 최초로 검색 서비스에 모델을 적용했다.

네이버는 사용자가 오타를 입력하거나 맞춤법을 잘못 입력하거나 잘못 알고 있는 검색어를 입력하는 등의 경우 올바른 단어로 전환하거나 적절한 검색어를 추천해 주는 기능에 '한국어 초거대 AI 언어 모델'을 적용했다. 

네이버에서 초거대 언어모델 실제 서비스로  (사진=NAVER)
네이버에서 초거대 언어모델을 실제 서비스로 적용한 예시로 언어 모델 적용 전 나오지 않았던 검색 결과를 적용 후 검색어를 AI가 자체 수정 해 검색 결과가 나오게 했다.  (사진=NAVER)

해당 기능은 사용자가 잘못된 검색어를 입력해 검색 결과에 아무런 정보도 노출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검색 결과가 0건인 경우를 올해 절반 수준으로 줄일 계획이다. 사용자의 검색 경험 향상을 위해 필수적인 기능으로 적용되고 있다.

네이버는 이번 '초거대 AI 언어 모델'을 자체 개발했다. 이를 검색 서비스에 적용함으로써 그동안 의도를 파악하기 어려웠던 일부 검색어에도 적절한 검색어를 제안할 수 있게 됐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민들레꽃과냉이차이끛’이라고 잘못 검색하더라도 ‘민들레꽃과 냉이꽃 차이’로 자동 변환해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네이버 언어 모델에 적용한 검색어 예시 목록 표>

구분 기존질의 변환질의
천지인 등 오타


ㄷᆢㅇ대문 공 영주차장

잘못한부분을 단호학ᆞ


동대문 공영주차장

잘못한부분을 단호하게

구어체


땅콩열 매는 어떻게 열리나요?

화이자백신 누가마 나요


땅콩 열매 열리는 법

화이자백신 누가 맞나요

공백 없는 검색어 경기도양평명달리느티나무 경기도 양평 명달리 느티나무
그외 기타


가모넬라균 자궁경부암

활염막염 골반 원인


자궁경부암 가드넬라균

활막염 골반 원인


해당 언어모델 개발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네이버 김선훈 리더는 "사용자가 매번 어떤 검색어를 새로 입력할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해당 기능의 만족도를 일정 수준 이상 높이는 것이 쉽지 않았다" 며 "그러나 이번 초거대 AI 모델 적용을 통해 예측 성능을 향상시켰다" 고 밝혔다.

또, 3분기 내에 사용자가 현재 잘못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수정 의견을 제안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검색 흐름에 따른 맥락을 분석해 다음 검색어를 예측해 추천하는 기능도 추가될 예정이다.

예를 들어, '올리브오일 효능'을 검색한 뒤, '파스타 만드는 법'을 검색한 사용자에게 '올리브 파스타 만드는 법'이란 검색어를 추천하는 식이다.

네이버에서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조직을 이끄는 강인호 책임리더는 "그간 초거대 언어모델이 그 가능성과 품질로 학계에서 큰 주목을 받아왔지만, 실제 대규모 유저 서비스에 이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모델을 최적화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개선하는 등 고도의 기술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고 말했다. 

이번 검색어 서비스를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관련 연구 개발을 강화해 다양한 서비스와 사용자들에게 첨단 AI 기술을 제공할 예정이다.

한편, 네이버는 이달 말 기술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이와 관련된 보다 자세한 내용을 공유할 것임을 밝혔다.

AI타임스 이하나 기자 22hnxa@aitimes.com

[관련기사] 네이버-서울대, 공동 AI 연구센터 설립..."초대규모 AI 개발하겠다"

[관련기사] 네이버, 검색 서비스 전체에 GPT-3와 같은 대규모 AI 모델 적용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