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와 서울대가 공동 인공지능(AI)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한국어 기반 초대규모 AI 연구에 돌입한다. 해당 연구를 위해 양 기관은 3년간 수백억원 규모 연구개발비를 투자한다.
네이버와 서울대는 10일 초대규모 AI 공동연구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서울대-네이버 초대규모 AI 연구센터(SNU-NAVER Hyperscale AI Center)'를 설립한다.
AI 연구센터를 이끌 공동센터장으로 전병곤 서울대 교수와 하정우 네이버 AI LAB 소장을 임명했다. 네이버와 서울대는 모두 AI 연구진 100여명의 연구인력을 투입한다.
최인혁 네이버 COO는 "개별 프로젝트 중심 기존 방식에 비해 보다 적극적인 산학협력모델"이라며 “새로운 산학협력 모델로 네이버와 서울대의 연구진들이 함께 강력한 연구 시너지를 낼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요 연구 목표는 ▶언어 ▶이미지 ▶음성을 동시에 이해하는 한국어 기반 초대규모 AI 모델을 개발하는 것. 연구 성과는 연 2회 이상 기술 공유 워크샵을 개최해 공개한다.
대규모 AI 연구에 필수적인 슈퍼컴퓨팅 인프라는 네이버가 공급한다. 네이버는 작년 10월 '엔비디아 DGX 슈퍼팟(SuperPod)'을 도입한 바 있다.
교육 협력 일환으로 네이버 연구진이 서울대 겸직 교수로 대학원생들을 지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네이버는 서울대 학생들의 인턴십과 산학협력 파견에 적극 협조할 계획이다.
장병탁 서울대학교 AI 연구원장은 “AI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하려면 인프라와 인력이 모두 중요하다. 네이버의 우수한 인프라와 양측의 AI 인재들이 힘을 합쳐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AI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전했다.
AI타임스 박성은 기자 sage@aitimes.com
- 화웨이, 중국판 GPT-3 개발‥ 현존 최대 파라미터 보유
- 네이버, 웹툰에 신규 AI 기능 적용...의료계 클라우드 보급에 집중
- 정부 지원사업 선정 유력 서울대 AI대학원 “원천기술에 집중”...KAIST와 양강구도 형성할 듯
- 네이버-KAIST AI대학원, 차세대 AI 위한 공동연구센터 설립
- 네이버 커넥트재단, ‘부스트캠프 AI Tech’ 2기 모집 시작...매년 500명 육성
- [초점]서울대 AI 연구원, 선도혁신연구센터 16개나 만든 이유는?
- 네이버 "초대규모 AI 다음은 신뢰 가능한 AI"...독일 튀빙겐대와 협약
- 서울대 AI 대학원, 협동과정 AI전공 참여교수 9명 추가 영입
- 서울대 'AI 여름학교' 9일부터 11일까지 개최...구글·페이스북 연구자 강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