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봉근 한국수자원공사 부장은 13일 '2022 태양광 마켓 인사이트(PVMI 2022)' 컨퍼런스에서 수상태양광 활성화 방안에 대해 강연하고 있다. (사진=AI타임스). 
오봉근 한국수자원공사 부장은 13일 '2022 태양광 마켓 인사이트(PVMI 2022)' 컨퍼런스에서 수상태양광 활성화 방안에 대해 강연하고 있다. (사진=AI타임스). 

오봉근 한국수자원공사 부장은 13일 '2022 태양광 마켓 인사이트(PVMI 2022)' 컨퍼런스에서 수상태양광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시했다.

오 부장이 제시한 수상태양광 활성화 방안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지역 상생 수상태양광이다. 그는 주민참여형 사업 추진을 비롯, 주민 펀드 신설 및 모집, 경관 디자인 및 명소와 주민 수용성 제고를 세부 추진 전력으로 꼽았다.

두 번째는 수상변전소 기술 개발을 주장했다. 오 부장은 부유식 변전시스템 개발, 부력체 및 계류 장치 개발, 관련 규정·기준수립, 사업성 확보로 발전수익 제고 등을 언급했다. 

이날 컨퍼런스에 참여한 태양광 분야 전문가, 기업인들이 오봉근 한국수자원 공사 부장의 강연을 듣고 있다. (사진=AI타임스). 

마지막으로 그는 "계통연계에 있어 제약사항을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 부장은 "댐 상류를 보면 길도 없고 계통연결하기 어려운 지역이 많아 이같은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가가 가장 중요한 요소"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계통미연계 수상태양광 활용, 그린수소 생산 및 활용, 미래 원천기술 확보 등을 제안했다. 

오 부장은 수상태양광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자체의 노력도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냈다. 그는 "지자체에서 재생에너지를 집단으로 설치하고, 설치 구역을 지자체에서 주도해 발굴한다"며 "지자체의 적극적 역할을 통해 사업 추진 동력 확보와 지역주민과의 협의 수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AI타임스 조형주 기자 ives0815@aitimes.com

[관련 기사][특집 PVMI 2022] '글로벌 태양광 시장 내 중국 기업 독점화 대응 필요"

[관련 기사] [특집 PVMI 2022] "녹차, 영농형 태양광에 딱 맞아"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