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바이트댄스가 '틱톡'을 운영하는 직원 일부가 미국 사용자 정보에 불법으로 접근한 사실을 인정했다. 미국 정부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분야 대중국 제재를 확대할 빌미가 될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와 뉴욕타임스 등 다수 언론이 22일(현지시간) 바이트댄스가 이같은 사실은 인정했다고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쇼우지추 틱톡 CEO가 "일부 직원이 사용자 데이터 접근 권한을 남용했다"는 메시지를 직원들에게 보냈다고 밝혔다. 더불어 "이 위법 행위는 회사의 원칙을 전혀 대표하지 않는다"고 덧붙인 사실도 전했다.
이번 문제는 틱톡을 이용해 일부 미국인의 위치를 추적할 계획이라는 바이트댄스 직원의 내부 폭로로 불거졌다. 바이트댄스는 내부 감사팀을 구성했고, 수개월의 조사 끝에 일부 직원들이 미국 언론인 2명의 데이터에 불법으로 접근한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타임스는 이에 따라 바이트댄스가 틱톡 직원 4명을 해고했으며, 재발 방지를 위해 감사팀을 재구성했다고 밝혔다.
이런 문제로 인해 미국 주 정부는 이달 초부터 잇달아 정부 소유 기기에 틱톡을 설치하거나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어 미국 상원은 지난 14일 '중국 공산당의 인터넷 감시, 강압적 검열과 영향, 알고리즘 학습에 따른 국가적 위협 회피'라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미 정부가 지난 10월 첨단 기술의 중국 수출을 금지하며 내세운 '국가 안보'와 같은 맥락이다.
게다가 법안이 하원을 통과하고 최종 대통령의 승인을 받으면 ▲틱톡 하나가 아니라 중국의 SNS 서비스 전체를 대상으로 ▲정부기관 사용 금지를 넘어 미국 내 서비스 완전 금지할 수 있는 근거가 생긴다. 법안에는 중국이나 러시아 등 우려 국가 내에 있거나 이들 국가의 영향 아래 있는 소셜미디어 회사의 미국 내 거래를 완전 차단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미국 정부기관들로 구성된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가 "중국 정부의 미국 사용자 데이터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 왔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중국 정부는 지난 3월1일자로 '인터넷 정보 서비스 알고리즘추천 관리 규정'을 시행, 텐센트와 알리바바, 바이두 등 중국 애플리케이션 30개 회사로부터 자료를 건네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