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규모 인공지능(AI) 컴퓨팅과 중소기업 대상의 AI 솔루션·클라우드 도입과 제조·의료·공공 등의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디지털 플랫폼 발전방안'을 29일 발표했다. 이 대책은 범정부 합동으로 도출한 것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디지털 플랫폼 경제·사회 실현'을 비전으로, 플랫폼산업 육성과 시장질서 확립, 건강한 플랫폼사회 구현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따르면 정부는 민간이 확보하기 어려운 대규모 AI 컴퓨팅 자원과 중소기업 대상 AI 솔루션·클라우드 등의 도입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제조·의료·공공 등 10대 분야의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축하고 주민투표 등 국민체감 블록체인 프로젝트 등 차세대 플랫폼 기술 선점을 지원하기로 했다.
산업간 이해갈등으로 시장 출시가 가로막힌 플랫폼 서비스에 대해서는 갈등해결형 규제샌드박스, 갈등 조정기구 등을 활용해 실증 데이터에 기반한 조정·규제 개선을 펼치기로 했다.
더불어 혁신 플랫폼의 시장검증과 투자유치, 멘토링 등 단계별 성장을 지원하고 글로벌 자본유치를 통한 유니콘 플랫폼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이 밖에도 ▲자율규제 참여 인센티브 강화 ▲정책인프라 강화 ▲공정한 경쟁환경 조성 ▲플랫폼 기술환경 구축 등에도 집중하기로 했다.
또 정부는 발전방안의 차질 없는 추진을 위해 '범부처 플랫폼 정책협의체'를 통해 이행현황을 지속 점검하고 민간 플랫폼 자율기구 지원 등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디지털 플랫폼 발전방안은 우리나라 디지털 플랫폼 질서 정립의 첫걸음이자 글로벌 디지털 플랫폼 경제·사회 선도를 향한 강력한 의지를 국가 차원의 정책으로서 마련한 것”이라며 “정부 역량을 총 결집해 동 대책의 차질없는 추진으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만들어 내는 것은 물론 디지털신질서 구현의 이정표로 만들겠다”라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