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전자 제품 제조업체 폭스콘과 칩 제조업체 엔비디아가 자율주행차 플랫폼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발표했다고 로이터가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폭스콘은 커넥티드 및 자율주행 차량의 컴퓨팅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엔비디아의 '드라이브 오린(DRIVE Orin)’ 칩을 기반으로 자동차용 전자 제어 장치(ECU)를 제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폭스콘은 ECU를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 제공할 계획이다.

전기 및 자율주행차를 개발하는 회사들은 최근 몇 년 동안 비용 상승과 생산량 증대의 어려움으로 인해 제품을 시장에 출시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엔비디아는 폭스콘이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는 데 자사의 기술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자동차 부문에서 3000억달러의 시장 기회를 보고 있으며 3분기에 이 부문에서 2억 5100만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 칩 제조업체는 이번 제휴를 통해 자율 및 커넥티드 차량용 칩에 대한 수요 증대 위한 노력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하이오에서 차량 제조 시설을 운영하는 폭스콘은 차량에 자율 주행을 위한 드라이브 오린 및 엔비디아의 ‘드라이브 하이페리온 (DRIVE Hyperion)’ 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ECU가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만에 본사를 둔 폭스콘은 로드스톤 모터의 전기 자동차 를 만들고 피스커의 두 번째 자동차 모델인 ‘피어(PEAR)’를 만드는 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애플 제품도 제조한다.

또 폭스콘은 지난 10월 사업 다각화를 위해 전기 자동차 제조를 늘리면서 테슬라를 위한 자동차를 만들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박찬 위원 cpark@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