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기술 국제표준화 전략과 기술위원회 신설 추진을 논의하기 위해 미국, 독일, 영국 등 양자기술 주요 선도국의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진종욱, 이하 국표원)은 13~14일 제주에서 국내외 표준 전문가 30여명이 참여하는 양자기술 표준화 평가그룹(IEC/SEG14)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우리나라가 주도해 작성 중인 양자컴퓨팅, 양자통신, 양자센싱, 양자소재 등 4부문의 양자기술 국제표준화 로드맵을 논의한다.
양자컴퓨팅에는 양자컴퓨터의 정상동작 및 효율성 확보를 위한 ‘측정 오류 완화 기술’ 등 3개, 양자통신에는 데이터 송수신시 요구되는 ‘보안성 유지를 위한 양자키 기술’ 등 5개, 양자센싱에는 초고감도·초정밀 센서 개발에 필요한 ‘광/자기장 활용 기술’ 등 3개, 양자소재에는 양자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소재 확보 관련 기술’ 2개 등 총 13개 표준화 대상이 포함돼 있다.
더불어 전문가들은 양자기술 기술위원회를 신설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8월 중 양자기술 국제표준화 로드맵을 확정하고, 10월에는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 표준화관리이사회에 양자기술 기술위원회 신설 제안서를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양자기술 동향, 활용분야, 표준화 수요 등을 제시하는 IEC 백서 발간을 주도했고, 양자기술 표준화 평가그룹 설립을 이끌어 낸 바 있다. 지난해 6월부터 박성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양자기술 표준화 평가그룹(SEG14) 의장직을 수임 중이며, 국내 전문가들이 양자기술 활용분야, 표준화 로드맵 작업반 반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진종욱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우리나라가 민관이 협력해 양자기술 국제표준화 시작 단계부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양자기술 분야에서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민간 전문가들의 국제표준화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